
국내 수출 중소기업 10곳 중 9곳이 최근 환율 하락으로 채산성 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최근 환율변동에 따른 중소기업 영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 91.5%는 환율 하락으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됐다고 응답했다. 이 중 59.6%는 ‘매우 악화’, 31.9%는 ‘다소 악화’라고 답했다. 업종별로는 금속·철강(75.0%), 고무·화학(71.4%), 기계(68.8%), 음식료(66.7%) 등의 순으로 채산성 악화가 우려됐다.
최근 원ㆍ달러 환율은 1달러당 1020원대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어 중소기업들의 수익성뿐만 아니라 신규 수주 감소 등 수출 규모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소기업계에선 이 같은 환율 하락 상황이 지속될 경우 수출 중소기업들의 경영사정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수출 중소기업들이 예상하는 올해 손익분기점 환율은 1달러당 1038.1원, 적정 환율은 1086.3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엔화의 경우 100엔당 1059.4원, 적정 환율로는 1100.6원으로 판단했다. 하지만 1020원대인 최근 환율은 중소기업의 손익분기점 환율과 적정 환율에 훨씬 못 미치는 수준이다.
수출 중소기업들은 올해 최저 원ㆍ달러 환율을 1달러당 1001.0원으로, 원ㆍ엔 환율은 100엔당 975.7원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으로 환율이 추가적으로 하락할 것이라는 우려가 반영됐다.
최근 환율 하락에 대한 대응법으로는 ‘원가절감’(43.6%), ‘수출단가 조정’(38.3%), ‘대금결제일 조정’ (13.8%) 등이 꼽혔다. 많은 중소기업들이 원가 절감과 수출단가 조정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채산성 악화를 막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환율 하락세에도 환리스크 관리를 하지 않은 기업이 16.0%에 달했다. 특히 종사자수 50인 이하 기업(21.5%), 수출규모 50만달러 미만(16.7%) 등 영세 기업일수록 환리스크 관리가 더욱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무역보험공사 조사에 따르면 수출 중소기업의 약 23%만이 환변동보험이나 은행 선물환을 통해 헤지에 나서고 있고, 나머지 77%는 환리스크 관리에 손을 놓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환율 하락에 따른 정부 대책으로는 중소기업의 80.9%가 ‘안정적 환율 운용’에 역점을 둘 것을 희망했다. 그 외 ‘무역 금융ㆍ보증 지원 확대’(35.1%), ‘환변동보험 확대’(12.8%), ‘환관리 전문 인력 지원’(5.3%) 등을 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