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대우, 유로 Ⅳ 기준 디젤엔진 본격 생산

입력 2006-05-09 10:3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GM대우가 엄격한 유로Ⅳ 배기가스 기준을 만 족시키는 2.0리터급 커먼레일 디젤엔진을 개발, 9일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GM대우와 제너럴모터스(General Motors) 파워트레인 부문이 공동으로 개발한 GM대우 첫 디젤엔진은 국내외 시장에서 판매될 자동차에 장착될 계획이다.

GM대우 닉 라일리(Nick Reilly) 사장은 “GM대우 최초 디젤엔진은 윈스 톰에 처음으로 탑재돼 오는 6월 첫 선을 보이며 향후 디젤승용차 시장 공략의 첨병이 될 것이다”며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유럽 등 수출시장 확대에도 큰 역할 을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한 디젤엔진은 최대 출력 가변형 터보차저 (Variable Geometry Turbo : 최대 출력150마력, 토크 32.7kg.m )와 고정형 터보차저 (Fixed Geometry Turbo : 최대 출력 120마력, 토크 28.6kg.m) 등 2가지 버전으로 출시된다.

최신 2.0 리터 직접 분사방식 커먼레일 디젤엔진은 국내 최초 전자 제어식 (Rotary Electrical Actuator) 가변형 터보차저와 영구 매연 여과장치 (Diesel Particulate Filter) 등을 적용한 첨단 엔진이다.

국내 최초로 전자 제어식 VGT를 채택, 기존 진공식 제어방식 보다 탁월한 반응속 도와 정밀한 제어력을 자랑한다. VGT 시스템은 터보차저의 핵심인 터빈 내 11개 의 가변기구 (Movable Vane)를 엔진제어장치 (Engine Control Module)에서 직접 조절할 수 있는 전자제어 방식 (REA)을 채택, 저속 및 고속에서 운전자의 요구에 빠르게 출력을 조절할 뿐 아니라 배출가스를 줄이고 연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 다.

국내 SUV시장에 처음으로 소개 되는 영구 매연 여과장치 (DPF)는 첨가제 (Additive)가 필요 없이 탄화수소 (HC)와 일산화탄소 (CO) 등 배기가스를 출력과 연비손실 없이 효과적으로 줄이는 최신 친환경 기술. 영구 매연 여과장치는 후처 리 시스템으로 1차 산화촉매장치 (Pre-Catalyst)와 주 산화촉매장치 (Main Diesel Oxidation-Catalyst), 코팅 미세먼지필터 (Coated Diesel Particulate Filter) 등이 적용됐다.

특히GM DAEWOO 디젤 매연 여과장치는 영구적으로 연료 분사장치를 통해 필터 내 에 쌓인 미세먼지 등 매연입자 (Shoot)를 600~650℃의 고열로 태우는 재생 기술을 활용, 발화점을 낮춰 매연입자를 태워주는 기존 첨가제 사용방식과 달리 주기적으로 첨가제를 갈기 위해 정비를 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없앴으며, 자동차 수명주 기 동안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GM대우는 총 2720억원을 투자, 군산공장 인근에 5800여평 (19,200 평방미터) 규모의 디젤엔진 공장을 건립했으며 이 곳에서는 연간 최대 25만대 생산 능력을 갖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민희진 "음반 밀어내기 권유 사실…하이브에 화해 제안했다"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부산 마트 부탄가스 연쇄 폭발…불기둥·검은 연기 치솟은 현장 모습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BBQ, 치킨 가격 인상 또 5일 늦춰…정부 요청에 순응
  • 트럼프 형사재판 배심원단, 34개 혐의 유죄 평결...美 전직 최초
  • “이게 제대로 된 정부냐, 군부독재 방불케 해”…의협 촛불집회 열어 [가보니]
  • 비트코인, '마운트곡스發' 카운트다운 압력 이겨내며 일시 반등…매크로 국면 돌입 [Bit코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518,000
    • -0.51%
    • 이더리움
    • 5,276,000
    • +1.23%
    • 비트코인 캐시
    • 639,000
    • -1.16%
    • 리플
    • 726
    • +0.55%
    • 솔라나
    • 232,500
    • +0%
    • 에이다
    • 626
    • +0.81%
    • 이오스
    • 1,142
    • +1.69%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300
    • -0.23%
    • 체인링크
    • 25,830
    • +3.61%
    • 샌드박스
    • 607
    • -0.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