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내내 ‘사퇴압박’ 시달리는 현오석… 2월임시회 ‘절정’

입력 2014-02-12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대정부질문서 상임위까지 골고루 뭇매… 野, 해임건의안 내기로

“카드사태로 화난 국민을 ‘어리석은 사람’이라 했는데, 물러날 용의는 없나.”(민주당 김영록 의원)

“정보 유출사고 국정조사에서 책임이 나오면 사퇴할 의향이 있나.”(민주당 민병두 의원)

“실언으로 해임당한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에 비해 나을 게 뭔가.”(정의당 박원석 의원)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2월은 ‘잔인한 달’이다. 지난해 3월 국회 인사청문회 당시부터 야당의 임명불가론에 부딪힌 후 임기 내내 사퇴압박에 시달린 그이지만 이번 2월 임시국회에선 ‘카드사 개인정보 유출사태’라는 대형악재로 그 압박강도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야당은 11일 경제분야 대정부질문부터 현 부총리에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야당 질의자 6명 중 5명이 정홍원 국무총리에게 현 부총리 해임건의를 촉구하거나 현 부총리에 직접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야당 의원들은 정보 유출사고 관련해 경제수장으로서의 관리·감독 책임과 ‘국민 책임 전가’ 발언을 문제 삼는 동시에 경제실정과 무능력, 비등한 사퇴여론 등을 사퇴해야 하는 이유로 들었다.

특히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지난달 초 기재부의 서기관 이하 직원 62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현 부총리가 ‘워스트(최악) 상사’로 뽑힌 사실을 공개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소장, KDI 원장 시절에 이어 ‘꼴찌 3관왕’에 오른 그의 리더십 문제를 찌른 셈이다.

현 부총리는 “공직자로서 현재 위치에서 최선을 다해 국민께 봉사하는 게 도리이고, 우선은 빨리 (정보유출) 사태수습하는 게 소임”이라며 야당의 사퇴 요구를 일축했지만, 대정부질문 후 이어질 상임위 차원의 공세 수위도 만만찮을 전망이다.

기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은 기재부 업무현안보고 등이 이뤄지는 13일 전체회의를 벼르고 있다. 야당 간사인 민주당 김현미 의원은 “지난해 추경에다 불용액까지 감안하면 실제 40조원의 세수펑크가 난 것인데 현 부총리에겐 대책이 없다”면서 “여기에 공공기관 개혁방안 등 (문제 삼을) 꺼리가 많다”고 했다.

정무위는 18일 열기로 한 개인정보 유출 관련 국정조사 청문회의 증인으로 현 부총리를 채택해놓은 상태다. 정무위 새누리당 관계자마저 “알아서 나가야지, 꼭 여당 의원 전체 이름으로 나가라고 해야 나가겠나. 현 부총리를 방어해줄 필요를 못 느낀다”며 냉담한 분위기다.

국회에서의 이러한 수모에도 불구, 현 부총리는 적어도 6.4 지방선거까진 직을 유지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민주당은 정무위 국정조사가 마무리되면 국회에 현 부총리 해임건의안을 낼 방침이지만 ‘X맨’과 같은 존재인 그를 끌어내리려 총력을 쏟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여당으로서도 지방선거 전 인사청문회를 치러야 하는 것이 부담이다. 새누리당의 한 중진의원은 “윤진숙 전 장관과 현 부총리를 함께 교체했어야 한다는 말도 일리가 있지만, 청와대 비서실장 등을 봐라. 바꾼다고 더 좋은 사람이 오겠나”라고 탄식하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아이돌 레시피와 초대형 상품…편의점 음식의 한계 어디까지?[Z탐사대]
  • 제니와 바이럴의 '황제'가 만났다…배스 타올만 두른 전말은? [솔드아웃]
  • 송다은 "승리 부탁으로 한 달 일하고 그만뒀는데…'버닝썬 여배우' 꼬리표 그만"
  • ’돌아온 외인’에 코스피도 간다…반도체·자동차 연이어 신고가 행진
  • ‘빚내서 집산다’ 영끌족 부활 조짐…5대 은행 보름 만에 가계대출 2조↑
  • “동해 석유=MB 자원외교?”...野, 의심의 눈초리
  • 미끄러진 비트코인, 금리 인하 축소 실망감에 6만6000달러로 하락 [Bit코인]
  • 명승부 열전 '엘롯라시코'…롯데, 윌커슨 앞세워 5연속 위닝시리즈 도전 [프로야구 16일 경기 일정]
  • 오늘의 상승종목

  • 06.1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819,000
    • +0.04%
    • 이더리움
    • 5,052,000
    • +0.52%
    • 비트코인 캐시
    • 611,000
    • +0.99%
    • 리플
    • 692
    • +1.76%
    • 솔라나
    • 205,000
    • -0.05%
    • 에이다
    • 586
    • +0.34%
    • 이오스
    • 939
    • +0.54%
    • 트론
    • 164
    • -0.61%
    • 스텔라루멘
    • 139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70,050
    • -0.78%
    • 체인링크
    • 21,050
    • -1.54%
    • 샌드박스
    • 545
    • +0.3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