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패드 에어, 경쟁 제품과 비교해보니 "가볍긴한데 가격이.."

입력 2013-10-23 07:0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아이패드 에어

▲필립 쉴러 애플 글로벌 마케팅 부문 수석 부사장이 22일(현지시간) 열린 미디어 행사에서 아이패드 에어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블룸버그

애플이 초경량ㆍ고화질 아이패드인 '아이패드 에어'를 선보여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스키니한 보디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지만 스펙은 어떨까.

IT 전문매체인 기즈모도는 애플이 2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여바 부에나 센터에서 공개한 ‘아이패드 에어’를 철저히 분석, 넥서스10ㆍ킨들파이어 HDㆍ엑스페리아Z 등 경쟁 태블릿과의 스펙 차이를 공개했다.

기즈모도에 따르면 '아이패드 에어'에서 가장 확실히 진화한 것은 A7칩이다. '아이패드 에어'는 A7칩을 내장해 초대 아이패드에 비해 처리속도가 8배, 그래픽 성능은 72배로 개선됐다. 이 때문에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채용했어도 전혀 문제 없다는 설명이다.

레티나 디스플레이란 화면 크기는 이전과 같지만 픽셀의 개수는 기존보다 훨씬 늘어나 또렷한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애플은 지난해 3월 공개한 3세대 아이패드에 레티나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이후 대부분의 제품에 채용하고 있다.

다만 기즈모드는 픽셀 밀도 면에서는 1년 전에 나온 넥서스10이 여전히 압도적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이 차이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아 큰 문제는 없다는 지적이다.

기즈모도는 '아이패드 에어'가 확실한 차별화하는 것은 가벼운 무게임을 강조했다. '아이패드 에어'의 무게는 1파운드(약 453g). 가볍기로 말하면 킨들파이어HD가 최고이지만 이 제품은 사이즈가 7인치인데다 성능은 '아이패드 에어'에 크게 못미친다.

'아이패드 에어'의 배터리 스펙에 대해서는 기즈모도 역시 장담하지 못했다. '아이패드 에어'의 배터리 스펙에 대해 알려진 것은 32Wh라는 것 뿐. 애플 제품의 배터리는 그 동안 수명이 짧다는 지적이 끊임없었던 만큼 이번에도 큰 기대는 하지 않는 게 좋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가격 면은 적정 수준이라는 평가다. '아이패드 에어' 가격은 499달러(약 53만원)에 책정됐다. 다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최저 가격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기즈모드는 지적했다.

기즈모도는 독서나 동영상 검색, 인터넷 서핑 정도라면 굳이 '아이패드 에어' 수준의 스펙은 필요없다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합참 "북한, 대남 오물풍선 어제부터 약 600개 살포…서울·경기서 발견"
  • 단독 빨래 심부름 걸리자 보복성 인사 ‘갑질’…도로공사 지사장 고발
  • [유하영의 금융TMI] 6개 은행, ‘책무구조도’ 도입 앞두고 은행연합회에 매일 모이는 이유
  • "제발 재입고 좀 해주세요"…이 갈고 컴백한 에스파, '머글'까지 홀린 비결 [솔드아웃]
  • "'딸깍' 한 번에 노래가 만들어진다"…AI 이용하면 나도 스타 싱어송라이터? [Z탐사대]
  • 중국 ‘창어 6호’ 달 뒷면 착륙…‘세계 최초’ 토양 샘플 회수 눈앞
  • 의대 지방유학 '강원·호남·충청' 순으로 유리…수능 최저등급 변수
  • 1기 신도시·GTX…수도권 '대형 개발호재' 갖춘 지역 뜬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5.3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762,000
    • +0.1%
    • 이더리움
    • 5,329,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648,000
    • +1.41%
    • 리플
    • 725
    • +0%
    • 솔라나
    • 232,200
    • -0.6%
    • 에이다
    • 633
    • +1.28%
    • 이오스
    • 1,138
    • +0.62%
    • 트론
    • 158
    • +1.28%
    • 스텔라루멘
    • 14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250
    • -0.81%
    • 체인링크
    • 25,810
    • +0.7%
    • 샌드박스
    • 629
    • +3.9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