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중앙은행, 경기부양에 사활 걸었다

입력 2012-12-18 08:45 수정 2012-12-18 14: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격화되는 환율전쟁-하] 미국, 부양 카드 총동원…일본, 무제한 양적완화 전망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선진국 중앙은행의 ‘돈풀기’가 가속화하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Fed)는 지난 12일(현지시간) 끝난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경기부양을 위한 카드를 총동원했다.

연준은 단기 국채는 팔고 장기 국채는 사들이는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의 이달 종료를 앞두고 내년 1월부터 매월 450억 달러(약 48조원)의 국채를 추가로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9월부터 모기지담보부증권(MBS)을 400억 달러씩 매입하는 3차 양적완화를 실시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이번 조치는 사실상의 ‘4차 양적완화’인 셈이다.

아울러 지난 1, 2차 양적완화에서는 종료 기간을 정해놨으나 3차부터는 따로 기간을 정해놓지 않고 있다. 이는 경기가 회복될 때까지 무제한적으로 돈을 풀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연준이 기준금리 조정을 이전처럼 기간이 아니라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등 구체적인 경제 수치에 맞추겠다고 밝힌 것도 중요한 변화다.

FOMC 성명에서 연준은 실업률이 6.5% 이하로 떨어지거나 물가상승률이 2.5% 이상 오르기 전까지는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업이나 은행 등이 연준이 언제 긴축정책에 들어갈지 고민하지 말고 마음껏 투자와 대출을 하라는 의미라고 전문가들은 설명했다.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은 FOMC 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현재 7.7%의 높은 실업률을 보이는 고용시장은 인적자원과 경제성장의 가능성을 헛되이 버리게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준이 중앙은행의 전통적 임무인 ‘물가 안정’보다는 ‘고용시장 안정’으로 중심축을 완전히 이동한 셈이다.

일본의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도 적극적인 경기부양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다.

일본의 지난 3분기 경제성장률은 연율 마이너스(-) 3.5%를 기록해 경기침체에 접어들었다. 4분기에도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돼 BOJ의 부양책이 절실한 상황이다.

또 지난 16일 총선에서 승리한 자민당의 아베 신조 총재는 경기부양을 위해 BOJ가 인플레이션 목표치를 2%로 높이고 무제한적인 양적완화를 시행하도록 하겠다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BOJ는 지난 10월 말 정례통화정책회의에서 자산매입기금 규모를 11조엔 증액하기로 해 2개월 연속 양적완화 규모를 확대했다.

전문가들은 BOJ가 오는 19~20일 열리는 정례 회의에서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경기부양책에 대한 의지를 피력해 붕괴 위기에 처한 유로를 구해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마리오 드라기 ECB 총재는 그리스의 유로존(유로 사용 17국) 탈퇴 가능성 등 유럽 재정위기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 7월 “ECB는 의무범위 안에서 유로를 지키는 데 필요한 일은 무엇이든지 할 것”이라며 “나를 믿어라. 조치는 충분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 후 ECB는 지난 9월 재정위기를 겪는 국가의 국채를 무제한적으로 매입하는 프로그램(OMT)을 발표했다. 앞서 ECB는 지난 7월에 기준금리를 종전 1.00%에서 사상 최저 수준인 0.75%로 인하하기도 했다.

드라기 총재는 지난 6일 올해 마지막 ECB 금융통화정책회의를 마치고 가진 기자회견에서 “내년 유로존 경제성장률이 -0.3%에 그칠 것”이라며 “향후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폭넓은 논의가 있었다”고 밝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1,800,000
    • -2.69%
    • 이더리움
    • 4,907,000
    • -3.44%
    • 비트코인 캐시
    • 579,500
    • -5.08%
    • 리플
    • 717
    • +3.17%
    • 솔라나
    • 198,300
    • -5.71%
    • 에이다
    • 562
    • -4.75%
    • 이오스
    • 866
    • -6.88%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8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67,100
    • -4.55%
    • 체인링크
    • 20,050
    • -6.66%
    • 샌드박스
    • 484
    • -11.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