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문재인, ‘박정희 독도 폭파 발언’ 놓고 설전

입력 2012-08-12 18:1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의 ‘독도 폭파 발언’을 놓고 여야 유력 대선주자인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가 치열한 설전을 벌였다.

이번 논란은 문 후보가 지난 2일 경북 안동 독립운동기념관에서 ‘대일 5대 역사현안에 대한 문재인의 구상’을 발표하면서 “1965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딘 러스크 미국 국무장관에게(한일 수교협상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섬(독도)을 폭파시켜서 없애버리고 싶었다고 말했다”며 박 전 대통령을 비판한 것이 발단이 됐다.

이에 박 후보 측 조윤선 대변인은 11일 보도자료를 내고 “외교문서에 따르면 이 발언은 일본 측에서 한 것으로 돼 있다”며 “문 후보는 명백한 허위사실 유포와 거짓말에 대해 해명하고 사과해야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에 문 후보 측은 12일 “일본이 독도 폭파 발언을 한 것이 사실이지만 박 전 대통령도 이 발언을 했다”고 반박 보도자료를 냈다.

문 후보 측이 제시한 1962년 한일회담 예비절충 회담의 4차 회의 발언록에 따르면 일본 측 이세키 유지로 아시아국장은 “독도를 폭파해서라도 없애버리자”고 제안했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 비밀문서로 분류된 1962년 10월 29일 김종필-러스크 대화록에는 “김종필이 오히라에게 독도를 폭파해 버리자고 제안했다고 말하자 러스크는 자신도 그 해결책을 생각해냈다고 대꾸했다”고 돼 있다는 것이 문 후보 측 설명이다.

문 후보 측은 또 미국 국립문서보관소에 있는 국무부 기밀대화 비망록을 인용해 박 전 대통령도 1965년 6월 한일협정 타결 직전 미국을 방문해 독도 폭파 발언을 했다고 제시했다.

문 후보 측 노영민 공동선대본부장은 “박 후보와 그 캠프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비판만 나오면 흥분을 감추지 못하는 것 같다”며 “사실관계도 제대로 파악하지 않은 채 무조건 허위사실로 몰아가고 상대후보에게 사과하라고 윽박지르는 인신공격적 요구도 서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어 “박 후보는 5·16에 이은 또 하나의 역사 뒤집기를 즉각 중단하고 무책임한 정치공세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박 후보 측 조윤선 대변인은 이날 박 전 대통령의 독도 폭파 발언 여부에 대해 직접 언급은 피했지만 “언론에 그런 보도와 기재가 있었다는 사실들은 나와 있다”고 사실상 인정했다.

그러나 조 대변인은 “미국 측 특정문서 한 구절에만 의존해서 박 전 대통령의 독도에 대한 입장을 왜곡하는 것은 대단히 정략적인 정치공세”라며 박 전 대통령이 독도를 수호하려는 확고한 의지가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박 후보 측은 구체적으로 1965년 5월 17일 러스크 장관이 박 전 대통령에게 한국과 일본이 등대를 설치해 공동으로 소유하는 방안을 제시했는데 박 전 대통령이 단호히 거부한 일을 근거로 내놓았다.

또 같은해 6월 15일 주한 브라운 대사가 국무부에 보낸 문건에서 미국이 한국에 독도문제를 다룰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제의했지만 박 전 대통령이 거부했던 자료도 함께 제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마운트곡스 상환 물량에 움츠러든 비트코인, 13조 원어치 '시한폭탄' 움직였다 [Bit코인]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11: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4,282,000
    • -0.65%
    • 이더리움
    • 5,240,000
    • -1.58%
    • 비트코인 캐시
    • 648,500
    • -0.69%
    • 리플
    • 730
    • +0.14%
    • 솔라나
    • 236,000
    • +0.85%
    • 에이다
    • 630
    • -0.94%
    • 이오스
    • 1,131
    • +0.8%
    • 트론
    • 155
    • +0%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800
    • -0.63%
    • 체인링크
    • 26,170
    • +3.19%
    • 샌드박스
    • 624
    • +0.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