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트먼 리더십도 안 통하나…HP 실적 전망 먹구름

입력 2011-11-22 09: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012년 주당 순이익 전망 4달러로 시장 기대 훨씬 못 미쳐…PC 쇠퇴·현금부족 등 과제

▲멕 휘트먼 HP CEO는 PC 부문의 쇠퇴와 현금부족 등 어려운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휘트먼 CEO가 지난 8월23일(현지시간) 미국 덴버에서 열린 글로벌비즈니스트래블협회(GBTA) 컨벤션에서 연설하고 있다. 블룸버그

이베이 신화의 주인공인 멕 휘트먼도 휴렛팩커드(HP)를 살리기에는 역부족일까.

HP는 21일(현지시간) 실적 발표에서 2012 회계연도 1분기(올해 11~내년 1월) 일부 항목을 제외한 주당 순이익이 83~86센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이는 전문가 예상치인 주당 1.11달러 순익을 밑도는 것이다.

2012 회계연도 전체 순익에 대한 회사 전망도 주당 4.00달러로 시장 예상치인 4.58달러에 훨씬 못 미쳤다.

우울한 실적 전망은 휘트먼 최고경영자(CEO)의 앞길이 험난할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통신은 전했다.

HP는 지난 회계 4분기(8~10월) 일부 항목을 제외한 순익이 주당 1.17달러로 전문가 예상치 1.13달러를 웃돌고 매출은 321억달러(약 37조원)로 시장 전망과 부합했다.

그러나 매출은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3.5% 줄었다.

전문가들은 휘트먼 CEO가 PC 부문의 쇠퇴에 따라 새 성장동력을 찾고 재무상태를 개선해야 하는 2가지 과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다.

회사는 지난 8~10월에 인도와 러시아, 중국, 브라질 등 브릭스 시장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 늘었으나 미국과 유럽의 부진으로 타격을 입었다.

PC사업 분사 계획을 섣불리 밝혔다가 시장의 신뢰를 잃었고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태블릿PC ‘터치패드’는 냉정한 시장 반응에 출시한 지 얼마 되지 않아 판매를 중단했다.

여기에 지난 8월 영국 소프트웨어업체 오토노미를 117억달러에 인수하면서 부실한 재무구조를 개선하는 문제도 시급하다.

지난 7월말 기준 130억달러의 현금이 있었으나 오토노미 인수분과 터치패드 중단으로 인한 손실액 10억달러를 감안하면 현금이 거의 바닥난 셈이다.

다른 기술기업에 비해서 부채가 많은 점도 우려된다.

단기 회사채를 포함한 회사의 부채 규모는 지난 7월말 기준 250억달러가 넘는다.

전문가들은 휘트먼 CEO는 10년간 이베이를 이끌어오면서 회사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로 도약시켰지만 HP에서도 그의 리더십이 먹힐 지는 실적을 통해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르포] 일산호수공원·GTX·일자리 '3박자' 갖춘 고양장항지구, 대기수요 몰릴까?
  • '최강야구 시즌3' 중2 투수 유희관? 칼제구로 서울고 타선 묶어…미스터제로 장원삼 등판
  • 밀양 성폭행 가해자가 일했던 청도 식당, 문 닫은 이유는?
  • 중국이 공개한 푸바오 최근 영상, 알고보니 재탕?
  • 1000개 훌쩍 넘긴 K-편의점, ‘한국식’으로 홀렸다 [K-유통 아시아 장악]
  • "호주서도 현물 ETF 출시"…비트코인, 매크로 이슈 속 한숨 돌려 [Bit코인]
  • 요즘 20대 뭐하나 봤더니…"합정가서 마라탕 먹고 놀아요" [데이터클립]
  • "유튜브에 유저 다 뺏길라" …'방치형 게임'에 눈돌린 게임업계
  • 오늘의 상승종목

  • 06.04 10:5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6,221,000
    • +0.63%
    • 이더리움
    • 5,248,000
    • -1.19%
    • 비트코인 캐시
    • 647,000
    • +0.47%
    • 리플
    • 726
    • +0.41%
    • 솔라나
    • 231,500
    • +0.65%
    • 에이다
    • 640
    • +1.59%
    • 이오스
    • 1,112
    • -1.59%
    • 트론
    • 158
    • -1.25%
    • 스텔라루멘
    • 147
    • -1.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85,400
    • +0.29%
    • 체인링크
    • 24,460
    • -3.59%
    • 샌드박스
    • 635
    • +2.4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