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구조, 피라미드형→항아리형으로 ‘급변’

입력 2011-11-16 08: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도권 가격대별 아파트 구조가 저가 아파트가 많은 ‘피라미드형’에서 중간가격대가 많은 ‘항아리형’으로 바뀐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번지가 수도권 아파트 322만1990가구를 대상으로 가격 동향 을 조사한 결과, 2억이상 4억원미만 아파트는 142만3181가구로 전체의 44.17%를 기록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나타났다.

5년전만 해도 저가인 2억원미만 아파트가 전체의 38.01% 인 102만8271가구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해 ‘피라미드형’ 구조에 가까웠다.

그러나 2억미만 저가 아파트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2억~4억원미만 가격대로 상향 이동된 반면, 고가 아파트는 하락세를 보이면서 중간가격대가 볼록한 ‘항아리형’ 구조로 변했다.

5년전과 비교해보면 2억원대 미만 저가 아파트 16.32%P, 8억~10억원미만 고가 아파트는 0.65%P 감소했다. 반면 2억~4억원미만은 13.13%P, 4억~6억원미만은 5.16%P, 6억~8억미만은 0.45%P로 비중이 증가했다.

부동산1번지 관계자는 "이 같은 현상은 2006년 말 파주와 은평뉴타운의 고분양가 논란을 시발점으로 저가 주택 수요가 급증한 반면 고가 주택은 DTI규제와 글로벌 금융위기로 투자 매력을 잃으면서 주택시장 트랜드가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됐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466,000
    • +3.66%
    • 이더리움
    • 2,878,000
    • +11.85%
    • 비트코인 캐시
    • 591,000
    • +15.43%
    • 리플
    • 3,164
    • +5.01%
    • 솔라나
    • 224,800
    • +8.18%
    • 에이다
    • 1,028
    • +8.9%
    • 이오스
    • 1,191
    • +6.91%
    • 트론
    • 360
    • +2.27%
    • 스텔라루멘
    • 398
    • +8.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00
    • +11.02%
    • 체인링크
    • 21,470
    • +11.07%
    • 샌드박스
    • 428
    • +11.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