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지방채 회복세...금리 안정 조짐

입력 2011-05-1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난해 1월 3.46%에서 2.64%로 하락

미국 지방채시장에 파란 불이 켜졌다.

금융정보업체 톰슨로이터 MMD에 따르면 'AAA'등급의 10년 만기 미 지방채 수익률이 지난해 11월 대규모 매도세가 발생하기 이전 수준인 2.51%에 근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1월 3.46%까지 치솟았던 수익률은 지난 5월 13일 2.64%로 떨어졌다.

투자자들이 지난해 말 시작된 미국 주정부에 대한 디폴트(채무불이행) 경고가 지나쳤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지방채에 대한 수요가 되살아나기 시작했다고 FT는 분석했다.

미 국채가 최근 강세를 보인 점도 지방채 가격 상승을 지지했다. 미국 지방채 시장의 순유출 규모는 지난 1월 400억달러에서 최근 1억달러 밑으로 떨어져 대량 매도세가 시작된 지난해 하반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FT는 주로 감면혜택을 노린 지역 개인투자자들이 시장으로 재진입하기 시작했다며 신용리스크가 여전히 높은 상황에서 지방채 보유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개별 채권을 매입하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는 신규 지방채 발행 물량이 여름까지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이면서 지방채 랠리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지방채 이자 지급시기인 6~7월 재투자가 늘어나면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짝 랠리라는 평가도 있다. 지방채 가격이 낮은 거래 물량과 신규발행의 부재로 인해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에 상황이 급변할 경우 지방채 시장의 취약성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뮤니서플마킷어드바이저의 맷 파비안 총괄디렉터는 "지방채 시장은 여전히 취약하다"며 "주정부나 시정부의 재정건전성이 악화됐다는 소식만으로 투자심리를 위축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신규발행이 늘어날 경우 가격 랠리는 중단되고 수익률은 다시 오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전문가들은 일단 올해 지방채 발행 규모 전망치를 하향조정하고 있다. 경기침체 이후 지방채 발행으로 3조달러의 자금을 모은 지방정부가 수년간 재정적자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더 이상 빚을 지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재명·한덕수에 尹 선고까지?…'운명의 일주일' 온다
  • 조용히 창립 87주년 맞은 ‘삼성’…경쟁력 회복에 ‘초집중’
  • 일본 전국시대 흑인 주인공으로 돌아온 ‘어쌔신 크리드: 섀도우스’ [딥인더게임]
  • 평가 엇갈린 '백설공주'…디즈니 실사영화 오명 벗어낼까 [시네마천국]
  • ‘토허제’에 ‘명태균’ 2연타 맞은 오세훈...‘심판론’ 뛰어넘을까
  • ‘세계 강아지의 날’…가족같은 댕냥이 펫푸드, 프리미엄이 대세
  • 넷플릭스, 도파민 가득 신작 공개…스릴러부터 코미디까지
  • “봄맞이 해외여행 가볼까” 특가 항공권 쏟아진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227,000
    • +0.05%
    • 이더리움
    • 2,937,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478,100
    • -2.13%
    • 리플
    • 3,522
    • -0.03%
    • 솔라나
    • 190,800
    • +2.58%
    • 에이다
    • 1,040
    • -0.48%
    • 이오스
    • 819
    • -1.33%
    • 트론
    • 346
    • -0.86%
    • 스텔라루멘
    • 408
    • -0.7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200
    • +2.2%
    • 체인링크
    • 21,180
    • +2.57%
    • 샌드박스
    • 419
    • +0.9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