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銀 청문회, 이헌재 출석에 팽팽한 긴장감

입력 2011-04-20 22:56 수정 2011-04-21 07:0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회 정무위의 20일 저축은행 청문회는 오후 늦게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와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증인대에 서서야 긴장감이 조성됐다.

잠적 논란을 빚으며 막판까지 출석 여부가 불투명했던 이 전 경제부총리를 향한 여당 의원들의 `총공세'가 쏟아진 가운데 이 전 부총리도 이에 맞서 응수하면서 팽팽한 기싸움이 오갔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이 전 부총리가 "윤 장관이 출석해야 증인대에 설 수 있다"며 국회 기획재정위 일정 때문에 3시간 가량 늦은 윤 장관과 함께 입장, 증인석에 앉자 기다렸다는 듯이 맹공을 폈다.

김영선 의원이 "증인 한 사람 때문에 민의를 대변하는 국회가 이런 식으로 운영되는게 바람직한 일이냐"며 몰아세우자 이 전 부총리도 "적어도 전현직 금융경제 책임자를 불러 증언을 들을 때에는 모양을 갖춰달라는 말씀을 드린 것"이라며 "저도 할 말 많지만 그 정도로 끝내달라"고 받아쳤다.

이에 김 의원도 "대단하시다"라며 "그런 의전을 받는 사람은 대한민국에 없다"라고 비꼬았다.

이 전 부총리는 재정기획부 장관 시절인 2000년 예금자보호한도 확대, 저축은행 명칭 변경 등의 정책을 집행한 데 대해 김 의원의 추궁이 이어지자 "10년전 직책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했을 뿐"이라며 "상호저축은행이란 용어는 한나라당이 다수당인 시절에 국회에서 의결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 전 부총리는 정옥임 의원이 "출석요구서도 수령하지 않은 참 특별한 증인"이라고 꼬집자 "참석한다, 안한다는 의사표시를 한 적이 없다"고 맞섰고, "김대중 정부 시절 각종 게이트로 저축은행 이미지가 실추되자 명칭을 바꾼 것 아니냐"는 이성헌 의원 질의에도 "명확히 물었으면 답했을 것"이라고 물러서지 않았다.

반면 민주당 의원들은 이 전 부총리에 대해 "`잠적했다'고 비판하는 행태는 반성해야 할 일"(우제창), "개인 가정사로 인해 집을 비울 수도 있는 것 아니냐"(조영택)이라며 이 전 부총리를 엄호하며 오히려 윤 장관의 `지각출석'을 문세 삼았다.

금융감독위원장 재직시 `88클럽' 우대 조치를 주도, 야당 의원들의 집중 공격에 처한 윤 장관은 그 당시가 노무현 정부 시절이었다는 점 때문에 여당 의원들로부터도 협공을 받으며 진땀을 뺐다.

한나라당 고승덕 의원은 "오늘은 현 정부 기재부 장관이 아닌 참여정부 금감원장 자격으로 오신 것"이라며 "윤 장관이 이 정부가 떠안은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 12조2000억원의 99%를 만든 셈"이라고 질타했다.

윤 장관은 이에 "당시로선 최선의 합리적 선택이었다고 믿고 있다"면서도 "책임으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는 없다"고 몸을 낮췄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옷 어디서 사세요?…사용 만족도 높은 '패션 앱'은 [데이터클립]
  • "일주일만 팝니다"…유병자보험 출시 행렬에 '떴다방' 영업 재개
  • 전장연, 오늘 국회의사당역 9호선 지하철 시위…출근길 혼잡 예고
  • "파도 파도 끝이 없다"…임영웅→아이유, 끝없는 '미담 제조기' 스타들 [이슈크래커]
  • 단독 문체부 산하 한국문화진흥 직원 절반 '허위출근부' 작성
  • 새 국회 '첫' 어젠다는…저출산·기후위기 [22대 국회 개원]
  • [종합] 뉴욕증시, 美 국채 금리 급등에 얼어붙은 투심…다우 400포인트 이상↓
  • 육군 훈련병 사망…군, 얼차려 시킨 간부 심리상담 中
  • 오늘의 상승종목

  • 05.30 09:4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3,946,000
    • -1.06%
    • 이더리움
    • 5,230,000
    • -1.93%
    • 비트코인 캐시
    • 647,500
    • -0.69%
    • 리플
    • 729
    • -0.41%
    • 솔라나
    • 234,000
    • +0%
    • 에이다
    • 629
    • -1.1%
    • 이오스
    • 1,122
    • +0%
    • 트론
    • 156
    • +0.65%
    • 스텔라루멘
    • 149
    • -0.67%
    • 비트코인에스브이
    • 86,200
    • -0.98%
    • 체인링크
    • 25,780
    • +0.62%
    • 샌드박스
    • 617
    • -0.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