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안전도 현대 쏘나타 1위..SM3는 꼴찌

입력 2010-08-25 11:00 수정 2010-08-25 11: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올해 출시된 신차 가운데 현대자동차 쏘나타의 충돌 안전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르노삼성차 SM3는 가장 낮은 점수를 기록했다.

국토해양부는 최근 출시되어 국내에 판매되고 있는 승용차를 대상으로 안전도 평가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5일 밝혔다.

대상 차종은 경형급인 지엠대우 마티즈, 소형급인 르노삼성 SM3, 중형급인 현대 쏘나타, 중형급 레저용인 현대 투싼, 대형급인 렉서스 ES350이다.

이번 평가항목은 ▲정면충돌 안전성 ▲부분정면충돌 안전성 ▲측면충돌 안전성 ▲기둥측면충돌 안전성 ▲좌석 안전성(이상 충돌분야 5개 항목) ▲보행자 안전성 ▲주행전복 안전성 ▲제동 안전성 등 총 8개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에 새로 도입된 '충돌분야 종합등급’에서 르노삼성 SM3(2등급)를 제외한 현대 소나타 등 4차종이 1등급을 받았다. 특히 경차(지엠대우 마티즈)도 충돌분야 종합등급에서 1등급을 받는 등 높은 안전성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충돌분야에서 후방 충돌시의 탑승자 목 상해 예방 등을 위한 '좌석 안전성'은 렉서스 ES350 등 일부 차종이 미흡하고 '보행자 안전성'은 대부분의 차종이 미흡해 제작사의 개선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목별로 보면 '정면충돌' 안전성에서는 르노삼성 SM3(별 4개)를 제외한 4차종이 별 5개를 받았다. '부분정면충돌' 및 '측면충돌' 안전성에서는 5차종 모두 별 5개를 획득했다.

'좌석' 안전성에서는 현대 쏘나타 및 투싼이 별 5개, 지엠대우 마티즈 및 르노삼성 SM3가 별 4개, 렉서스 ES350이 별 2개를 받았다.

'기둥측면충돌' 안전성에서는 제작사 요청시험으로 현대 쏘나타 1차종이 실시됐다. 측면에어백을 기본 장착함에 따라 충돌분야 종합등급에서 가점 2점을 획득했다.

'보행자' 안전성에서는 지엠대우 마티즈가 별 4개, 르노삼성 SM3 및 현대 쏘나타.투싼이 별 3개, 렉서스 ES350이 별 2개를 얻었다.

'주행전복' 안전성에서는 무게중심고가 높은 레저용(RV) 차량을 대상으로 실시한 현대 투싼이 전복가능성 16.4%로서 별 4개를 받았다.

'제동' 안전성에서는 5차종 모두 제동거리가 짧고, 차선 이탈도 없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오는 12월 기아 K5, 르노삼성 SM5, 기아 스포티지, 기아 K7, 벤츠 E-class, 아우디 A6 등 나머니 6차종의 평가결과와 함께 '올해의 안전한 차'도 선정해 발표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치료 미뤄질까, 환자들 ‘불안’…휴진 첫날 서울대병원 [가보니]
  • "생지옥, 오지 마세요"…한 달 남은 파리 올림픽의 '말말말' [이슈크래커]
  •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내년 최저임금은 얼마 [데이터클립]
  • 같은 팀 동료 벤탄쿠르까지…손흥민 인종차별 수난기 [해시태그]
  • 김진경·김승규 오늘 결혼…서울서 비공개 결혼식
  • [뉴욕인사이트] 멀어지는 금리인하 시계에도 고공행진…기술주 랠리 지속에 주목
  • 러브버그·모기 출몰…작년보다 등장 빠른 이유
  • "예측 불가능해서 더 재밌다"…프로야구, 상위팀 간 역상성 극명 [주간 KBO 전망대]
  • 오늘의 상승종목

  • 06.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92,149,000
    • -1.9%
    • 이더리움
    • 4,910,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575,500
    • -5.58%
    • 리플
    • 698
    • -0.85%
    • 솔라나
    • 200,000
    • -2.3%
    • 에이다
    • 564
    • -3.59%
    • 이오스
    • 870
    • -6.75%
    • 트론
    • 164
    • +0%
    • 스텔라루멘
    • 136
    • -2.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5,950
    • -5.38%
    • 체인링크
    • 19,980
    • -4.9%
    • 샌드박스
    • 489
    • -9.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