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과정서 상대국 압박 발언으로 풀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아마도 4일부터 각국에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3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정치매체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아이오와주 방문에 앞서 기자들과 만난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을 하루에 10개국씩 여러 나라에 보낼 것"이라며 "당신이 20%나 25% 또는 30%의 관세를 내게 될 것" 등의 내용을 담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상호관세 유예 기간 만료(오는 8일) 전부터 각국에 대해 책정한 상호관세율을 통보하기 시작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막판 유예 연장 가능성도 일각에서 거론되고 있는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전 이를 일축한 바 있다. "서한 통보" 발언은 미국과 협상을 진행 중인 교역국을 압박하는 의도로도 풀이된다.
미국의 무역 협상에 관여하고 있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이날 "상호관세 유예기간(8일까지)이 종료되면 미국과 무역 합의를 하지 않은 나라들엔 기존에 책정한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 뉴스
사실상 미국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기본관세 10%가 적용됐고, 57개 경제 주체에 대해서는 기본관세 10%에다 국가별로 차등부과된 관세율이 더해진 최종 상호관세율이 책정됐다. 한국의 경우 기본관세 10%에 국가별로 차등 부과된 관세율 15%를 더해 25%의 상호관세율이 책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