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국제유가, 트럼프 “2주 내 군사개입 결정”에 하락…WTI 0.28%↓

입력 2025-06-21 07:2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군사개입 결정 유예, 협상 여지 남겨둔 것
유럽‧이란 외무장관 회담...성과는 없어
시장, 호르무즈 해협 봉쇄 가능성에도 촉각

▲2월 18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 인근 퍼미안 분지 유전에 있는 원유 매장지 근처에서 펌프 잭이 작동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2월 18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미들랜드 인근 퍼미안 분지 유전에 있는 원유 매장지 근처에서 펌프 잭이 작동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국제유가는 2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에 대한 군사 공격 여부를 향후 2주 내 결정하겠다고 밝히면서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7월물 미국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 대비 0.21달러(0.28%) 내린 배럴당 74.93달러에 마감했다.

전날 뉴욕 금융시장은 노예해방 기념일 ‘준틴스 데이(Juneteenth day)’로 휴장했다. 이날 장 마감 이후 WTI 기준물이 되는 8월 인도분 가격은 18일 대비 0.34달러(0.46%) 오른 73.84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선물거래소에서 8월물 브렌트유는 전일 대비 1.84달러(2.33%) 급락한 배럴당 77.01달러로 집계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성명을 통해 “이란과의 협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상당하다”며 “향후 2주 내 미국의 군사 개입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협상의 여지를 남겨두겠다는 것이다.

미국 언론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이란 공격 계획을 승인하고 이란의 선택을 지켜보며 실행만 보류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스라엘은 이란에 대한 공격을 확대하고 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스라엘군에 이란 내 ‘전략적 목표’와 ‘정부 목표물’에 대한 공격 강도를 높이라고 지시했다고 전해졌다.

이날 독일과 프랑스, 영국 등 유럽 주요 국가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이란과의 외무장관 회담으로 미국과의 핵 협상에 나설 것을 촉구하며 중재에 나섰다. 압바스 아락치 이란 외무장관은 유럽과의 협의를 지속할 의향이 있다면서도 우라늄 농축과 자위권 행사 권리를 강조했다.

시장은 전 세계 원유 수출량의 약 20%가 지나는 호르무즈 해협의 봉쇄 움직임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649,000
    • +0.69%
    • 이더리움
    • 3,986,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686,500
    • -4.59%
    • 리플
    • 3,688
    • -3.43%
    • 솔라나
    • 216,800
    • -2.91%
    • 에이다
    • 956
    • -6.55%
    • 트론
    • 407
    • +0.99%
    • 스텔라루멘
    • 519
    • +7.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100
    • -2.82%
    • 체인링크
    • 20,240
    • -4.48%
    • 샌드박스
    • 384
    • -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