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홈플러스의 소유주인 사모펀드 운용사 MBK파트너스의 김병주 회장이 최근 비공개로 국회를 찾아 홈플러스 회생의 유일한 길은 '인가 전 인수합병(M&A)'이라는 뜻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계의 '1조원 이상 사재 출연' 요청은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뜻도 전했다.
19일 정계와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김 회장은 13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일부 의원들과 비공개 면담을 하고 홈플러스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이 자리에서 MBK가 보유한 홈플러스 보통주 2조5000억 원을 전량 무상 소각해 회사의 M&A를 최대한 돕겠지만, 1조 원 이상의 사재를 출연하는 방안은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김 회장은 또 홈플러스의 새 인수자를 찾지 못할 경우 회사를 청산하지 않고 채권자와 협의해 자체 회생 절차를 밟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사도 밝혔다.
관련 뉴스
홈플러스는 채무가 2조9000억 원에 달하고, 만성적 경영난에 채권 피해자 배상 부담과 퇴직연금 미납 등 악재가 쌓인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가 이런 부실을 해소하고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까지 하려면 약 1조7000억원 규모의 추가 자금 투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정계와 노동계에서는 MBK와 김 회장이 홈플러스 경영 실패의 책임을 지고 1조 원대 자금을 홈플러스에 투자하라는 요구가 잇따랐다.
MBK에 따르면 김 회장은 앞서 소상공인 거래처에 대한 채무 변제를 돕고자 사재 400억 원을 홈플러스에 증여했고, 회사를 위해 600억 원의 대출 지급 보증을 섰다.
MBK는 별도로 홈플러스 차입금에 대해 보증을 서고 법정관리 이후 연체 이자를 내고 있다며 김 회장과 함께 홈플러스에 대해 지는 재무적 부담이 도합 3000억 원으로 추산된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이달 회생법원 측 조사에서 청산가치가 존속가치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와 원칙적으론 기업회생을 더 진행하지 못하게 됐다. 이에 따라 MBK와 홈플러스는 법원의 회생계획 인가에 앞서 회사의 새 주인을 찾는 인가 전 M&A로 활로를 찾기로 하고, 조만간 법원 승인을 받아 매각 절차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