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건설 레고랜드 이후 2년 6개월만 'A+→A0' 신용등급 하향…PF우발채무 부담 여전

입력 2025-06-18 10:4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 투시도. (자료제공=롯데건설)
▲계양 롯데캐슬 파크시티 투시도. (자료제공=롯데건설)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는 18일 롯데건설의 선순위 무보증사채 신용등급을 기존 'A+, 부정적'에서 'A0, 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롯데건설의 기업어음(CP) 및 전자단기사채 신용등급도 'A2+'에서 'A2'로 하향했다.

이번 등급 조정은 2022년 12월 강원중도개발공사 채권시장 경색 당시 PF우발채무에 따른 리스크를 반영해 'A+, 부정적'으로 등급전망이 하향되고 약 3년간 모니터링이 장기화한 끝에 이뤄졌다. 단기 유동성 리스크 완화에도 PF우발채무가 여전히 과중한 수준인 점이 반영됐다.

롯데건설은 2022년 말 5조7000억 원 수준이었던 도급사업 PF우발채무를 본PF 전환 및 계열 지원 등을 통해 순차적으로 축소하고, 2024년 3월 시중은행 등 금융기관과 공동조성한 펀드 2조3000억 원에 상당수의 PF우발채무를 편입해 단기 유동성 리스크를 완화했다.

그러나 PF보증 규모 감축에도 PF우발채무 부담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1분기 말 롯데건설의 연대보증, 채무인수, 자금보충 등을 포함한 PF보증 규모는 3조6조000억 원으로 자기자본 및 보유 유동성 대비 과중한 PF우발채무 부담이 지속 중이다.

한기평은 "PF보증 규모 감축 과정에서 건설업 전반의 원가상승으로 수익성이 하락하고, 후분양 사업장 및 대형 프로젝트 관련 미청구공사, 준공현장 관련 미수금 등으로 운전자본부담이 확대되며 순차입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등 재무부담이 확대했다"고 설명했다.

한신평은 "도급사업 PF보증의 상당 부분을 미착공 사업장이 차지하는 가운데 지방 및 수도권 외곽, 홈플러스 개발사업 관련 PF보증의 경우 동사의 실질적인 손실부담으로 전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번 신용등급에는 롯데그룹의 유사시 지원가능성이 반영됐다. 향후 신용도의 결정 요인으로는 롯데건설이 보증한 PF유동화증권 등의 원활한 상환 또는 차환 여부, PF우발채무 관련 주요 예정 사업장의 분양 일정 및 실적, PF우발채무 감축 규모 등이 작용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도파민 터지지만, 피로감도↑…'이혼 예능' 이대로 괜찮을까 [데이터클립]
  • 여름철에 돌아온 액션 추리 프랜차이즈…'명탐정 코난: 척안의 잔상' [시네마천국]
  • 세계 경제, ‘혼란의 시대’에도 연 3%대 성장 이어와⋯그 이유는
  • “선점하니 프리미엄”…신도시 첫 분양 단지, 시세차익 ‘더 유리’
  • 주말에도 물폭탄…당국 '비상모드'
  • “보증서 없이 600억 대출”…서울보증 전산 마비 사태로 드러난 '민낯'
  • 삼계탕 ‘2만원’ 시대...초복 '가성비 보양식' 경쟁 나선 유통가
  • 금산에서 삼계탕 잔치…울산서 바다 페스티벌도 열려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1,590,000
    • +0.59%
    • 이더리움
    • 4,864,000
    • -1.1%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1.56%
    • 리플
    • 4,690
    • -0.21%
    • 솔라나
    • 242,200
    • -0.66%
    • 에이다
    • 1,128
    • -0.35%
    • 트론
    • 439
    • -1.57%
    • 스텔라루멘
    • 636
    • -1.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540
    • +3.49%
    • 체인링크
    • 24,780
    • +0.53%
    • 샌드박스
    • 442
    • -2.4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