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학생·교사 10명 중 7명 “AI 교과서, 충분한 준비 없이 도입”

입력 2025-06-17 16: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교과서→교육자료' 격하 시 예산 지원 방식 변화 불가피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1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교육혁신 박람회‘에서 초등학생들이 AI 교과서를 사용해 영어수업을 듣고 있다. (뉴시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13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4 대한민국 교육혁신 박람회‘에서 초등학생들이 AI 교과서를 사용해 영어수업을 듣고 있다. (뉴시스)

교원·학생·학부모 10명 중 7명이 올해 1학기부터 일부 교육현장에 도입된 인공지능 디지털교과서(AIDT)가 준비 없이 도입됐다고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은 17일 국회에서 교사노조연맹·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15개 유관 단체와 기자회견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AIDT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엔 지난달 2~18일 전국의 학부모·교원·학생 총 2만7417명이 참여했다.

설문결과, 응답자의 68.2%가 "정책이 사전 준비 없이 졸속 시행됐다"고 지적했으며 65.2%는 "교육당국의 현장 소통이 부족하다"고 답했다. 특히 교원 71.7%, 학부모 81.1%가 교육당국의 소통 부재를 꼬집었다.

AIDT의 교육적 효과에 대해선 응답자의 70.8%가 "투자 예산 대비 효과가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교원 60.1%는 수업 활용에 어려움을 겪는다고 토로했다.

3월분 사용료 납부에 대해선 79.1%가 "타당하지 않다"고 했으며, 그중 60.4%가 "매우 부당하다"고 비판했다.

강경숙 의원은 "AI는 교육혁신의 도구이지만, 현장 의견을 묵살한 채 밀어붙이는 방식으로 추진해 학교 현장의 혼란을 초래했다"며 "이주호 교육부 장관은 2026년도 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새 정부가 교육철학을 재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AIDT의 법적 지위가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격하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향후 계약 구조와 예산 지원 방식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당시 AIDT를 교육자료로 격하하고 학교의 자율 선택권을 보장하겠다는 공약을 제시한 바 있다.

더불어민주당 공약집에도 “윤석열 정부의 성급한 AIDT 도입으로 교육 현장이 혼란을 겪었다”고 평가하며 제도 수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실제로 AIDT의 법적 지위를 ‘교과서’에서 ‘교육자료’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은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은 지난 11일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상정됐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광주서 10대 추락 사고, 지나가던 모녀 참변
  • 야닉 시너 윔블던 8강행, 디미트로프 부상 기권
  • 韓 기업 3곳 중 1곳만 ‘AI 기본법’ 이해한다는데…시행령에 쏠리는 눈
  • "그래도 2분기가 바닥"…삼성전자, 반도체 부진에 '어닝쇼크'
  • AI 도서 판매 3년 연속 증가⋯1위는 유발 하라리 '넥서스' [출판·번역시장도 AI바람 ①]
  • 대체재 많은데…‘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후발주자 급증
  • "공이 빨라 인마" 김성근의 질책…'불꽃야구' 성남고 1차전 결과는?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8월 1일까지로 연장⋯한ㆍ일 등 14개국 서한 공개
  • 오늘의 상승종목

  • 07.08 14:4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589,000
    • -0.78%
    • 이더리움
    • 3,479,000
    • -0.69%
    • 비트코인 캐시
    • 679,000
    • +0.15%
    • 리플
    • 3,103
    • +0.36%
    • 솔라나
    • 203,700
    • -1.59%
    • 에이다
    • 789
    • -1.5%
    • 트론
    • 393
    • +0.26%
    • 스텔라루멘
    • 339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3,720
    • +0.66%
    • 체인링크
    • 18,130
    • -2%
    • 샌드박스
    • 331
    • -1.4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