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T, 전력반도체 산업 미래전략 논의…“인력·공급망·자금 전방위 대응 필요”

입력 2025-06-1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11회 산업기술정책포럼 개최…차세대 소재 기술 격차 해소 방안도 제시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왼쪽에서 열 번째)이 17일 서울 JW메리어트에서 개최한 '제11회 산업기술정책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진흥원)
▲민병주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원장(왼쪽에서 열 번째)이 17일 서울 JW메리어트에서 개최한 '제11회 산업기술정책포럼'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산업기술진흥원)

전력반도체를 주제로 국내 산업 경쟁력 확보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연구 환경 조성과 공급망 구축, 전문 인력 양성 등 중장기 전략 수립에 힘써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은 17일 서울 JW메리어트에서 제11회 산업기술정책포럼을 열었다.

산업기술정책포럼은 KIAT가 산업기술 진흥을 위한 정책 발굴 차원에서 연구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다. 이날 포럼에서는 전력반도체 산업의 최신 동향을 점검하고 국내 경쟁력 확보 방안이 집중 논의됐다.

전력반도체는 전기를 효율적으로 변환하고 제어하는 반도체로,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서버·데이터센터, 5세대 통신장비 등에서 필수적으로 활용된다. 최근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와 탄소중립 대응이 본격화되면서 수요도 빠르게 늘고 있다. 기존에는 실리콘(Si) 기반이 주류였지만, 고전압 환경에 강하고 전력 손실이 적은 질화갈륨(GaN), 실리콘카바이드(SiC) 등 차세대 소재가 주목받으며 핵심 부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날 발제를 맡은 차호영 홍익대 교수는 “차세대 화합물 전력반도체 분야에서 국내 기술 수준은 선도국 대비 80% 이하 수준에 불과하다”며 “인력·공급망·자금 등 산업 기반이 전체적으로 취약한 만큼, 중장기 전략을 세워서 산학연 간 협업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KEC의 김수성 최고기술경영자(CTO)는 “탄소중립과 전동화 흐름에 따라 전력반도체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중”이라며 “고전력·고효율 생산 기반에 집중해 전력반도체 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국내 연구 환경과 공급망이 만들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전력반도체는 에너지 효율성과 산업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전략 기술”이라며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전문 인력 양성, 기반 조성, 공급망 확보 등 다각도로 관련 업계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위협에도 상승…다우지수 0.2%↑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불꽃야구' 성남고 2차전, 문교원의 짜릿한 역전타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085,000
    • -3.63%
    • 이더리움
    • 4,088,000
    • -0.63%
    • 비트코인 캐시
    • 670,500
    • -4.15%
    • 리플
    • 3,909
    • -2.37%
    • 솔라나
    • 219,300
    • -2.62%
    • 에이다
    • 988
    • -3.89%
    • 트론
    • 410
    • -0.24%
    • 스텔라루멘
    • 610
    • -6.5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250
    • -3.58%
    • 체인링크
    • 21,190
    • -2.89%
    • 샌드박스
    • 412
    • -5.9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