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서 트럼프 만남 직전 마크롱, 그린란드 찾아 ‘연대와 지지’

입력 2025-06-16 07: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트럼프 병합 위협 후 외국 정상 첫 방문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그린란드 누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누크(그린란드)./AFP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그린란드 누크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누크(그린란드)./AFP연합뉴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병합 의지를 드러낸 그린란드를 찾아 “프랑스와 유럽연합(EU)의 모든 사람은 그린란드가 매물이 아니며 (강제로) 가져갈 수 있는 곳도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AP통신에 따르면 마크롱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열고 “그린란드의 사태는 분명 모든 유럽인에게 경종을 울리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분명히 말하건대 여러분(그린란드)은 혼자가 아니다”며 연대와 지지를 보냈다. 회견을 지켜보던 군중도 박수를 보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 편입을 위해 무력을 사용한다면 프랑스가 군사적 지원을 할 것이냐’는 물음에는 “가정적 시나리오에 답하진 않겠다”며 “미국은 동맹이자 우방으로서, 다른 동맹(덴마크)을 향해 공격적 행동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날 마크롱 대통령의 그린란드 방문에는 메테 프레데릭센 덴마크 총리가 동행했으며 옌스 프레데리크 니엘센 그린란드 총리와 이들은 북극 안보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그린란드 병합을 강조한 뒤 그린란드를 찾은 외국 정상은 마크롱 대통령이 처음으로 트럼프 대통령도 참석하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개막 직전에 이뤄진 방문이 계산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최근 마크롱 대통령은 EU의 전략적 자율성 등을 강조하며 EU를 이끄는 강대국 대통령으로서의 역할을 되살리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린란드의 외교, 국방 정책 결정 권한은 덴마크에 있으며 ‘EU 해외국가 및 영토(OCT)’로 분류돼 EU 공동기금을 수령하거나 역내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된다.

한편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분쟁에 대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를 제재할 의지가 있는지가 관건이라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중재 역할 언급에도 수년간 전쟁을 일으킨 러시아가 중재역을 할 수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손풍기 말고 이것"…'40도 폭염'에 주목받는 '생존 매뉴얼' [이슈크래커]
  • 초고령사회 한국, 미래 준비할 때 [초고령 대응, 선험국에서 배운다]
  • 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안전대책 절실
  • 지카·니파·엠폭스·뎅기열·에이즈·아메바…동남아 여행 공포심 불러온 바이러스 [해시태그]
  • 美 수출액만 26조원인데...직격탄 맞을까 불안한 中企
  • "25% 관세 현실화하면 성장률 반토막"...막판 협상에 달린 韓경제
  • 체감온도 35도↑…계속되는 폭염에 인명 피해도 급증
  • [송석주의 컷] 여름의 냉기가 피어오르는 이상한 영화
  • 오늘의 상승종목

  • 07.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9,052,000
    • +0.43%
    • 이더리움
    • 3,695,000
    • +3.65%
    • 비트코인 캐시
    • 687,500
    • +0.73%
    • 리플
    • 3,250
    • +3.17%
    • 솔라나
    • 210,400
    • +1.3%
    • 에이다
    • 831
    • +3.49%
    • 트론
    • 394
    • +1.03%
    • 스텔라루멘
    • 393
    • +11.9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4,110
    • +1.34%
    • 체인링크
    • 19,140
    • +1.27%
    • 샌드박스
    • 356
    • +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