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사회통합은 ‘헌법 교과서’·금융지식은 ‘금융 교과서’ 개발 예고

입력 2025-06-05 10:4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헌법 교육, 중학교부터 시범실시…헌법 교육 교사 육성”
“금융 교육과정 체제 및 편제 구축…단계적 사업 진행”

▲ 헌법 교과서 제작 및 중고등학교 교육 활용. (자료 출처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직속 미래교육자치위원회)
▲ 헌법 교과서 제작 및 중고등학교 교육 활용. (자료 출처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직속 미래교육자치위원회)

학교에서 ‘사회 통합’과 관련한 개념은 ‘헌법 교과서’로, ‘금융’과 관련한 개념은 ‘금융 교과서’로 배우는 방안이 새 정부에서 검토될 전망이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대통령 대선 후보 당시 더불어민주당 미래교육자치위원회(위원회)는 ‘교육정책 제안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헌법 교과서 제작 및 중·고등학교 교육에 활용(안)’과 ‘학교기반 금융교육 활성화(안)’을 각각 내놨다.

헌법 교과서 정책안의 연차별 계획에 따르면 △교과서 및 수업 모형 개발(1년 차) △선택과목 지정, 교사 연수, 중학교부터 시범실시(2년 차) △중ㆍ고등학교 전체로 확대(3년 차)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정책제안 내용은 △중고등학생용 수준별 교과서 개발 △교육청 선택과목 지정 및 수업 모형 개발 △헌법 교육 교사 육성 등이다.

정책 제안자는 "사회 양극화와 극단적 대립이 점차 심화되면서 헌법에 기초한 민주시민 육성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헌법 교과서 개발을 정책으로 제안했다.

해당 정책 기대효과로는 △사회 통합 공감대 형성 △학생의 토론 능력 및 글쓰기 능력 향상 △헌법적 가치의 내재화 △민주공화국의 헌법 정신과 수호 고취 △비판적 사고력과 실천력 확보로 한국형 민주시민교육 모델 제시 등을 내놨다.

위원회는 금융 교과서 개발도 정책으로 제안했다. 금융 교과서 개발을 통해 금융자본주의 사회에서 학생들이 합리적인 금융 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기대 효과가 클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 교육 활성화 정책안 내용을 살펴보면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개정 △금융교육 과정 체제 및 편제 마련 △금융 교과서 및 교재 개발 △창의적 체험활동과 학교자율시간 금융교육 추진 △교사의 금융이해력 신장을 위한 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마련 등이 기재돼있다.

연차별로는 올해는 사업 및 예산을 검토한 후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초, 중, 고 단계적 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정책 실현으로 변화될 기대효과로는 △미래 경제시민 육성 △경제적 독립과 자유를 추구할 수 있는 미래 시민 육성 △금융교육 교육과정 체제 및 편제 구축 △교사의 금융이해력 및 금융역량 강화 등이 언급됐다.

위원회 관계자는 “인수위원회의 성격인 별도기구인 국정기획자문위가 역할을 이어받아 해당 정책안들을 살펴보고 정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KT 해킹 후폭풍, 경쟁사 ‘보안 마케팅’⋯번호이동도 증가세
  • 작년 수시 무전공학과 살펴보니…“경쟁률 높고, 입결 중간 수준”
  • 까다로워진 수요자 기준⋯'지역 내 강남' 분양 단지 몰린다
  • 박진감 넘치는 태권도문화축제…땡볕 더위 속 이색 페스티벌 열려 [주말N축제]
  • '강철 심장' 내려놓고 '휴머니스트'로 컴백한 슈퍼맨…DC 야심작 출격 [시네마천국]
  • "특가 항공권 조심하세요"...제주여행 소비자피해 3년간 1500건 넘어
  • 이진숙·강선우 논란 일파만파...野 맹공 속 민주당 ‘난감’
  • '최저임금 합의거부' 민주노총이 얻은 것과 잃은 것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9,461,000
    • +0.43%
    • 이더리움
    • 3,984,000
    • -1.43%
    • 비트코인 캐시
    • 690,500
    • -2.68%
    • 리플
    • 3,768
    • +1.84%
    • 솔라나
    • 216,200
    • -3.35%
    • 에이다
    • 962
    • -4.75%
    • 트론
    • 407
    • +0.99%
    • 스텔라루멘
    • 533
    • +15.87%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020
    • -2.61%
    • 체인링크
    • 20,360
    • -3.05%
    • 샌드박스
    • 386
    • -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