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교육과정 체제 및 편제 구축…단계적 사업 진행”

학교에서 ‘사회 통합’과 관련한 개념은 ‘헌법 교과서’로, ‘금융’과 관련한 개념은 ‘금융 교과서’로 배우는 방안이 새 정부에서 검토될 전망이다.
5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이재명 대통령 대선 후보 당시 더불어민주당 미래교육자치위원회(위원회)는 ‘교육정책 제안서’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헌법 교과서 제작 및 중·고등학교 교육에 활용(안)’과 ‘학교기반 금융교육 활성화(안)’을 각각 내놨다.
헌법 교과서 정책안의 연차별 계획에 따르면 △교과서 및 수업 모형 개발(1년 차) △선택과목 지정, 교사 연수, 중학교부터 시범실시(2년 차) △중ㆍ고등학교 전체로 확대(3년 차)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정책제안 내용은 △중고등학생용 수준별 교과서 개발 △교육청 선택과목 지정 및 수업 모형 개발 △헌법 교육 교사 육성 등이다.
관련 뉴스
정책 제안자는 "사회 양극화와 극단적 대립이 점차 심화되면서 헌법에 기초한 민주시민 육성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 헌법 교과서 개발을 정책으로 제안했다.
해당 정책 기대효과로는 △사회 통합 공감대 형성 △학생의 토론 능력 및 글쓰기 능력 향상 △헌법적 가치의 내재화 △민주공화국의 헌법 정신과 수호 고취 △비판적 사고력과 실천력 확보로 한국형 민주시민교육 모델 제시 등을 내놨다.
위원회는 금융 교과서 개발도 정책으로 제안했다. 금융 교과서 개발을 통해 금융자본주의 사회에서 학생들이 합리적인 금융 의사 결정을 내리는데 기대 효과가 클 것으로 내다봤다.
금융 교육 활성화 정책안 내용을 살펴보면 △초중고 금융교육 표준안 개정 △금융교육 과정 체제 및 편제 마련 △금융 교과서 및 교재 개발 △창의적 체험활동과 학교자율시간 금융교육 추진 △교사의 금융이해력 신장을 위한 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마련 등이 기재돼있다.
연차별로는 올해는 사업 및 예산을 검토한 후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초, 중, 고 단계적 사업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정책 실현으로 변화될 기대효과로는 △미래 경제시민 육성 △경제적 독립과 자유를 추구할 수 있는 미래 시민 육성 △금융교육 교육과정 체제 및 편제 구축 △교사의 금융이해력 및 금융역량 강화 등이 언급됐다.
위원회 관계자는 “인수위원회의 성격인 별도기구인 국정기획자문위가 역할을 이어받아 해당 정책안들을 살펴보고 정책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