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이준석 연일 단일화 공방...1차 데드라인 코 앞

입력 2025-05-21 16:1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YONHAP PHOTO-4082> 성남의료원 방문한 이준석 대선 후보    (성남=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1일 경기 성남의료원에서 한호성 원장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5.21        ondol@yna.co.kr/2025-05-21 15:45:20/<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YONHAP PHOTO-4082> 성남의료원 방문한 이준석 대선 후보 (성남=연합뉴스) 류영석 기자 =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1일 경기 성남의료원에서 한호성 원장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5.21 ondol@yna.co.kr/2025-05-21 15:45:20/<저작권자 ⓒ 1980-2025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가 단일화 구애와 철벽 방어를 무한 반복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생각하는 '1차 단일화 데드라인'이 코 앞으로 다가왔지만 이 후보는 "관심 없다"며 틈을 내주지 않고 있다.

김문수 후보는 21일 경기도 고양시 MBN 미디어센터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대선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지지율을 끌어 올릴 특단의 대책을 묻는 질문에 '이준석 후보와의 단일화'를 꼽았다. 김 후보는 "이 후보는 마지막에 저와 결국 단일화해 훌륭하게 대선 승리를 이끌 주역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 후보는 우리 당의 대표였는데 안타깝게 밖에 나가 따로 당을 한다. 다양한 견해를 나눠 우리가 원팀이 아니냐 허심탄회하게 이야기하고 미래를 공유하는 제안을 하겠다. 잘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의 단일화 구애는 공식 선거 운동이 시작된 12일 이래 수일째 이어지고 있다. '반명 빅텐트'의 불씨를 살리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이 후보가 철옹성 방어로 일관하며 완주 의지를 밝히고 있다는 점이다. 이날 안철수 국민의힘 공동선거대책위원장이 단일화 논의를 위해 이 후보의 유세지까지 찾아가 회동했지만 이 후보는 "전혀 달라진 점은 없다"고 못박았다.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도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우리는 결국 힘을 합쳐야 한다. 보수 본가가 고쳐쓸 수 없는 집이라면, 그 자리에 더 좋은 집을 새로 짓겠다"며 '새 집' 쇄신론까지 언급했지만 역부족으로 보인다.

특히 이동훈 개혁신당 수석대변인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친윤계 로부터 '당권 거래'를 제안 받았다고 폭로해 파장이 일 전망이다. 이 대변인은 "이 분들(친윤계)은 '당권을 줄 테니 단일화하자' '들어와서 당을 먹어라'는 식의 말을 한다"며 "전제는 늘 같다. 대통령 후보는 김문수로 가자는 것"고 전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이에 대해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대선 뒤 당권을 쥘까봐 노심초사하는 점과 대선 패배 책임을 회피하려는 알리바이 만들기 두 가지 의도가 있다고 봤다. 대선에서 지더라도 이준석이 단일화를 거부해서 졌다는 프레임을 미리 짜두려 한다는 것이다. 이 후보의 계속된 방어와 거부가 이번 폭로 내용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정치권에선 이 후보가 빅텐트에 들어갈 가능성은 낮다고 보지만 지지율이 완주 여부의 변수가 될 것이란 관측도 있다. 김 후보의 지지율이 중도 외연 확장이나 보수 결집으로 크게 올라 40%대에 안착할 경우 이 후보를 향한 단일화 압박이 더 거세질 수 있어서다. 반대 경우라면 보수 진영의 대선 패배 책임론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보수 진영 단일화는 이번주가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대선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는 25일 전에 단일화가 마무리돼야 효과를 극대화 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힘은 별도의 시점을 두진 않고 있지만 1차 단일화 데드라인을 24일로 보고 있다. 만약 이 때까지 단일화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두 번째 골든타임은 29~30일 사전투표 전이 될 전망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연준, 기준금리 동결…경제성장률 전망 하향
  • '골때녀' 원더우먼, 구척장신과 승부차기 끝에 역전승⋯마시마 '골키퍼'에서도 선방
  • 은종, 전남편 윤딴딴의 '쌍방폭행' 주장에 반박⋯폭행 정황 담긴 영상 공개
  • '만능'으로 평가받던 아이언돔·애로우…철벽이 뚫린 이유는 [리썰웨폰]
  • 푸틴, UAE대통령과 통화⋯“이란-이스라엘 분쟁 중재 의향”
  • '주학년 탈퇴' 이어지는 더보이즈 논란… 전 소속사 재평가까지
  • '우리동네는 내가 지킬개' 동네지킴이 반려견순찰대 [포토로그]
  • 대법관 늘리고, 국민참여 확대…‘재판받을 권리’ 보장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9 13: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800,000
    • +0.07%
    • 이더리움
    • 3,504,000
    • +0.03%
    • 비트코인 캐시
    • 636,500
    • -3.56%
    • 리플
    • 3,008
    • +0.23%
    • 솔라나
    • 203,300
    • -1.12%
    • 에이다
    • 839
    • -1.41%
    • 트론
    • 380
    • +0.26%
    • 스텔라루멘
    • 350
    • -0.2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340
    • -2.8%
    • 체인링크
    • 18,340
    • +1.21%
    • 샌드박스
    • 354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