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 계통의 한계를 넘고, 수도권 쏠림 구조를 완화하기 위한 분산에너지 실증사업이 전국 7개 지자체에서 본격 추진된다. 정부는 규제특례를 적용한 ‘분산에너지특화지역’을 통해 전력 직접거래, 저렴한 요금제, 재생에너지 기반 신산업 유치 등 분산형 전력 공급 모델을 시험하고, 지역 내 에너지 자립과 전력시장 혁신의 전환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근거리 전력 수급을 늘리고 전력망 부담도 줄일 수 있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활성화를 위해 전력망 이용요금을 할인하고 기후환경비용도 면제한다. 또한 한전에서 받는 보완전력요금은 구역전기사업자 수준으로 우선 보장하고, 부가정산금 감면도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유관기관과 협의를 거쳐 이와 같이 분산특구 인센티브 방향을 확정했다고 8일
정부가 데이터센터 등 신규 수요 이전을 촉진할 수 있도록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7일 서울 코리아나호텔에서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설명회를 열었다.
이날 설명회에는 지방자치단체와 사업자 등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산업부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추진 방향과 가이드라인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산업부는 지난해
정부가 제주도를 탄소 없는 에너지 선도도시로 육성하기 위해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 신청 시 계획 수립 단계부터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세계로 열린 청정한 섬, 글로벌 휴양 도시 제주'를 주제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 토론회'에서 이 같이 밝혔다.
6월 시행된 분산에너
정부가 광역·기초지자체 및 관련 분산에너지사업자를 위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이하 분산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설명회를 마련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양재 엘타워에서 분산특구 지정에 관심이 있는 광역·기초지자체 및 관련 분산에너지사업자를 대상으로 분산특구 지정 신청을 위한 '분산특구 가이드라인' 설명회를 열었다.
분산특구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한국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개발·보급 전담 기관 역할을 수행한다.
분산에너지 진흥센터는 지난달 14일부터 시행된 분산에너지법에 따른 분산에너지 활성화 전담 기관으로, 에너지공단과 전력거래소가 선정됐으며, 양 기관은 분산에너지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에너지공단은 분산에너지 보급 확대 및 신산업 활성화 등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 완료분산에너지 특화지역 및 전력계통영향평가 등 제도 시행 본격화
지역에서 만든 전력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분산에너지를 명문화·구체화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하 분산법)이 시행돼 지역 단위 전력 생산·소비 활성화를 위한 분산에너지 정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해 6월 제정한 분산법의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7일 “경기회복 기대감은 국내외 인플레이션 경계감을 확산해 경기 회복 제약 요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홍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경제중대본)회의 겸 뉴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최근 인플레이션 동향 점검 및 대응방안’을 상정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3월 소비자물가는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