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시장 1분기 매출액 3249억 원⋯영화보다 1200억 이상 높아

입력 2025-05-21 14: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예술경영지원센터, '2025년 1분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 발행

뮤지컬 '알라딘', G-DRAGONㆍ임영웅 콘서트 상위권 안착
'세일즈맨의 죽음' 연극 부문 1위⋯현대 무용 장르도 상승세

올해 1분기 공연시장 매출액이 3249억 원으로 확인됐다. 지난해보다 305억 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극장 산업의 위기를 맞은 영화시장 1분기 매출액(2004억 원)보다 1200억 원 이상 높은 수치다.

21일 예술경영지원센터가 발표한 '2025년 1분기 공연시장 티켓판매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공연시장은 472만 매의 티켓 예매로 총 3249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2021년부터 꾸준히 성장한 수치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05억 원 증가했다.

장르별로는 뮤지컬과 콘서트 등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특히 뮤지컬 '알라딘', '지킬 앤 하이드', '웃는 남자', '명성황후'가 티켓판매액 상위를 기록했다. 콘서트에서는 지드래곤, 임영웅, 제이홉, 나훈아, NCT 콘서트가 상위 5위안에 들었다.

상위 20위에 든 작품을 살펴보면 뮤지컬 7개, 콘서트가 13개로 나타났다. 두 개 장르가 상위 20위를 모두 석권하면서 장르 쏠림 현상이 지속됐다.

뮤지컬과 콘서트를 제외하면 연극 '세일즈맨의 죽음'이 1위를 차지했다. 아서 밀러의 동명의 희곡을 원작으로 한 연극으로, 꿈과 현실의 괴리 속에서 방황하는 현대인의 모습을 통해 자본주의 사회의 허상과 인간성을 탐구하는 작품이다. 이어 연극 '꽃의 비밀'과 '바닷마을 다이어리'가 상위권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전체 판매액의 85.8%를 차지, 여전히 공연 수요와 공급이 수도권에 집중된 양상을 보였다.

1분기 공연시장에서 특히 주목할 점은 현대무용 티켓판매액이 크게 올랐다는 것이다.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무용의 티켓판매액은 전년 동기 대비 2506%포인트(p) 상승했다. 매출액은 17억 원 수준이다.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바디콘서트', 서울시발레단 '데카당스' 등을 비롯해 방송 프로그램으로 인지도를 얻은 무용수들이 공연 무대로 돌아오면서 티켓판매를 촉진했다는 분석이다.

한편 올해 1분기 영화시장 매출액이 2004억 원으로 집계되면서 공연시장 매출액보다 1200억 원 이상 낮은 규모를 보였다. 지난해 상반기 공연시장 매출액이 영화시장보다 185억 원 앞섰는데, 올해 상반기에는 매출액 격차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내수부터 살리자” 車 업계, 할인러시…개소세 인하 연장 목소리도
  • 희토류 물꼬 튼 G2…對中 반도체 수출 규제도 풀릴까
  • 실용주의 정책·한중 해빙 무드...K뷰티, 中 시장 재공략 기대감 고조[이재명 정부 유통산업 전망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10:1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3,312,000
    • -4.21%
    • 이더리움
    • 3,453,000
    • -9.58%
    • 비트코인 캐시
    • 561,000
    • -4.92%
    • 리플
    • 2,925
    • -6.25%
    • 솔라나
    • 199,800
    • -9.84%
    • 에이다
    • 868
    • -9.58%
    • 트론
    • 374
    • -2.6%
    • 스텔라루멘
    • 355
    • -7.3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50
    • -8.72%
    • 체인링크
    • 18,020
    • -11.62%
    • 샌드박스
    • 355
    • -10.3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