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보, 수출기업 금융지원 총력…시중은행 공동협의체 '은행나무 포럼' 출범

입력 2025-05-21 11:2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8개 시중은행·정부 부처 참여…1.2조 규모 무역금융 공급

▲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왼쪽 일곱 번째)이 2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은행나무 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무역보험공사)
▲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왼쪽 일곱 번째)이 21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은행나무 포럼' 출범식에서 참석자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에 본격 착수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위원회를 비롯해 8개 시중은행이 함께 참여하는 민관 협의체 ‘은행나무 포럼’ 출범을 통해 대미 관세 대응과 수출활성화 지원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무보는 21일 하나·신한·우리·국민·기업·농협·부산·IM 등 8개 특별출연 은행, 산업통상자원부, 금융위원회와 함께 ‘은행나무 포럼(은행과 나누는 무역보험)’을 공식 출범했다.

이들은 무보 보증과 1980억 원 규모의 특별출연금을 바탕으로 총 1조2000억 원 규모의 무역금융을 우선 공급하고, 향후 최대 3조 원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이 협의체는 미·중 무역갈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수출환경 악화에 대응해 금융기관 간 협력방안과 제도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이를 정부 정책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맡는다. 산업부와 금융위 국장급 인사도 참여해 실질적 정책 반영에도 나설 예정이다.

무보는 이번 포럼 출범에 앞서 3월 ‘미국 보호무역 대응 무역보험 특별우대 지원안’을 발표하고, 4월에는 ‘미 관세 긴급대응 TF’를 구성하는 등 연이어 대응조치를 시행해 왔다. 이번 협의체 출범은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으로,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자금애로를 보다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민관 공조 기반이다.

정부로부터 추가로 확보한 3000억 원 출연금을 포함해, 무보는 총 5조 6000억 원 규모의 금융을 △단기 관세 대응자금 △방산·조선 등 중장기 프로젝트 금융으로 나눠 공급할 계획이다.

우량 수입자와 계약을 체결한 기업이나 시설 확충으로 일시적으로 재무 구조가 악화된 기업도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 평가를 통해 특례보증 대상이 될 수 있다.

해외 현지법인을 통한 매출 증가에 대응해 작년 10월 출시한 ‘글로벌 매출채권보험’은 매출채권의 조기 현금화를 지원하며, 올해 유동화 자금 지원도 확대될 예정이다.

장영진 무보 사장은 “시중은행 특별출연이 원동력이 되어 ‘수출패키지 우대금융’을 향후 3조 원까지 공급할 예정”이라며 “정부의 추가 출연을 바탕으로, 수출기업이 자금 걱정 없이 해외시장 개척과 제품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장기 금융지원까지 확대해 정부 부처와 은행권 협업을 한층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 이란과 전쟁 돌입…핵시설 3곳 폭격
  • '서울가요대상' 아이들 대상⋯투바투ㆍ영탁 3관왕
  • 2만여명 홀린 韓 기업들…'바이오 심장' 뒤흔들었다
  • '미사일 보복' 나선 이란… "이스라엘 상공에 폭발음"
  • 범접 메가크루 반응 터졌는데…허니제이ㆍ아이키, 언행 논란으로 '찬물'
  • 'K-AI' 기대감에 '국민주' 네카오 불기둥 행렬
  • 미국이 띄운 'B-2 폭격기' 뭐길래?…"벙커버스터 탑재 가능"
  • "고창서 장어·복분자 맛보세요"…'라벤더·해바라기' 꽃놀이도 [주말N축제]
  • 오늘의 상승종목

  • 06.2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2,886,000
    • -0.97%
    • 이더리움
    • 3,161,000
    • -6.84%
    • 비트코인 캐시
    • 649,000
    • -1.22%
    • 리플
    • 2,827
    • -4.88%
    • 솔라나
    • 185,300
    • -6.22%
    • 에이다
    • 759
    • -6.53%
    • 트론
    • 381
    • +0%
    • 스텔라루멘
    • 326
    • -4.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30
    • -3.43%
    • 체인링크
    • 16,550
    • -6.18%
    • 샌드박스
    • 326
    • -6.0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