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엘리베이터, 'R&D 산실' 아산타워 준공

입력 2025-05-21 16:0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충주 본사에 높이 250m 테스트타워 설치
"기술-사람-사회 연결하는 모빌리티 혁신 기업으로 거듭날 것"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21일 오후 현대엘리베이터 충주 본사에서 진행된 ‘현대 아산타워’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이 21일 오후 현대엘리베이터 충주 본사에서 진행된 ‘현대 아산타워’ 준공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가 충주 본사에 국내 기술개발(R&D)의 산실이 될 '현대 아산타워'를 준공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1일 충주 본사에서 아산타워 준공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준공식에는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과 조재천 대표 등 회사 관계자 200여 명과 김영환 충북도지사, 조길형 충주시장, 이종배 국회의원 등 지역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현 회장은 기념사를 통해 "아산타워는 현대엘리베이터가 40년간 쌓아온 기술과 신뢰를 하나로 모은 소중한 결실의 공간"이라며 "정몽헌 회장님의 '기술은 사람이 하는 것'이란 말을 되새기며 아산타워가 사람을 위한 기술의 정수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현대엘리베이터는 2022년 2월 본사를 충주로 이전한 후에도 경기도 이천의 테스트타워(205m)를 활용해 왔으나, 아산타워가 세워지며 모든 R&D 시설을 본사로 모두 이전하게 됐다.

아산타워 높이는 상층부 곤돌라 기준 250m로 세계 3위 위용을 뽐낸다. 기존 이천 테스트타워보다도 45m 이상 높다. 내부에는 최대 19대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분속 1260m급 초고속 엘리베이터와 더블데크(600m/m), 전망용(420m/m)은 물론 낙하시험 장치 등 다양한 종류의 엘리베이터를 설치해 각종 테스트와 연구개발이 이뤄진다.

아산타워에 들어선 R&D센터에는 상주 연구 인력만 160여 명에 이른다. 기존 2개 층에서 3개 층으로 인력과 규모를 대폭 확장했다. 특히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해왔던 고(故) 정몽헌 회장의 뜻을 기리고자 이천에 있던 ‘정몽헌 R&D센터’ 표지석과 연구소명을 그대로 옮겼다.

조 대표는 "아산타워는 변화하는 글로벌 경영환경 속에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에 대한 해답과 새로운 도약을 위한 공간이 될 것"이라며 "현대엘리베이터는 기술과 사람, 사회를 연결하는 '모빌리티 혁신기업'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엘리베이터 충주 본사에 위치한 국내 최고 높이의 ‘현대 아산타워’ 전경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현대엘리베이터 충주 본사에 위치한 국내 최고 높이의 ‘현대 아산타워’ 전경 (사진제공=현대엘리베이터)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수도권 공급, 3기 신도시 ‘패스트트랙’이 답…수도권 추가 택지 발굴 가능성도
  • 권력 분산‧상호 견제 공감대…검찰개혁 ’시즌2’ 다시 시험대로
  • G7서 ‘33조 잠수함 수주’ 탄력받나 …K방산 기대 확산
  • ‘임금협상·주 4.5일제’ 현대차부터 상견례 “올해 완성차 하투(夏鬪) 예고”
  • 중동 화약고 폭발 ‘초읽기’…美 직접 개입 검토·후티 참전 선언
  • 李 대통령, 6개월 만에 정상외교 본궤도에..."실용외교 첫발"
  • 매크로·가짜 티켓…진화하는 ‘암표 범죄’에 법도 속수무책
  • 시총 10배 수주잔고 쌓은 세아메카닉스...이성욱 "방산 인수도 고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566,000
    • -1.07%
    • 이더리움
    • 3,498,000
    • -1.52%
    • 비트코인 캐시
    • 654,000
    • -0.3%
    • 리플
    • 2,987
    • -2.86%
    • 솔라나
    • 204,000
    • -3%
    • 에이다
    • 852
    • -1.96%
    • 트론
    • 381
    • +0.26%
    • 스텔라루멘
    • 350
    • -2.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70
    • -2.08%
    • 체인링크
    • 18,100
    • -2.58%
    • 샌드박스
    • 358
    • -2.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