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쿼리자산운용 벤 웨이 부문 대표, 美 관세 정책 지적
인프라 자산 투자 이점 강조…“변동성 확대에 매력적인 방어 자산”

웨이 대표는 이날 한국투자공사(KIC)가 서울 본사에서 개최한 ‘제50차 공공기관 해외투자협의회(해투협)’에 참석한 자리에서 “트럼프 행정부 정책으로 미국 가중평균 실질 관세율이 올해 최대 20%까지 급등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회의에는 국내 중앙회·공제회·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해외 투자 담당자가 참석했다.
웨이 대표는 “주요국 중심으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인프라 자산은 인플레이션을 헤지하고 현금 흐름을 안정적으로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변동성이 확대 되는 현재 투자환경에서 매력적인 방어 자산”이라고 발표하기도 했다.
에드 노덤 맥쿼리자산운용 핵심 재생에너지 대표는 “트럼프 정부의 정책 변화에도 불구하고, 재생에너지 가격 경쟁력과 전력 수요 증가 추세는 지속될 것”이라며 “이러한 전망을 바탕으로 볼 때 미국 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전환 투자 시장은 매력적”이라고 말했다.
1969년 호주에서 설립된 맥쿼리그룹은 작년 9월 기준 전 세계에서 약 9427억 호주 달러 규모의 인프라, 부동산, 사모주식 등을 운용하고 있다. 자회사 맥쿼리자산운용은 2001년 한국에 진출했으며, 현재 한국 내 운용 규모는 약 185억 호주 달러에 달한다.
박일영 KIC 사장은 “불확실성이 높아진 현재 투자환경에서,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글로벌 인프라 투자 시장에서 우수한 투자 기회를 확보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편, 해투협은 국내 공공부문 투자기관이 해외 투자 과정에서 상호 협력하는 자리로서 2014년 한국투자공사 주도로 설립됐다. 현재 총 26개 국내 기관이 해투협 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