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고도 ‘물가’, 최우선 과제도 ‘물가 안정’ 꼽아

고물가 충격이 가계 살림살이로 번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은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물가 안정’이 가장 시급하다고 답했다.
20일 한국경제인협회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민생경제 안정을 위한 대책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3.5%는 '고물가 및 생활비 부담 증가'를 민생경제의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답했다.
이어 △일자리 문제 및 고용불안(11.3%) △주거비 상승 및 전‧월세 부담 증가(10.0%) △경기 둔화 및 내수 위축(7.2%) △소득 정체 및 실질임금 감소(6.8%) 등이 주요 경제적 어려움으로 지적됐다.
한경협은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 초반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누적 기준으로는 고물가가 장기화해 국민이 체감하는 물가수준이 높다고 분석했다. 실제 소비자물가는 2020년부터 올해 4월까지 16.4% 상승했다.
관련 뉴스
응답자의 60.9%는 민생회복 과제로도 물가 안정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물가 안정 다음으로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17.6%) △주거 안정(9.5%) △지역 경제 활성화(7.8%) △취약계층 지원 강화(3.8%) 등이 뒤를 이었다.
물가 안정은 모든 세대에서 1순위로 지목됐다. 특히 50대 응답 비율이 64.9%로 가장 높았고 △40대(63.5%) △60대 이상(60.7%) △20대 이하(57.2%) △30대(56.3%) 순으로 뒤이었다.
물가 안정을 제외하면 연령대별로 주목한 민생회복 과제는 차이를 보였다. 20대 이하(23.0%)와 50대(19.3%)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중요하게 여겼고, 30대는 ‘주거 안정’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타 연령에 비해 중요하게 여겼다. 한경협은 신규 취업·재취업 수요가 큰 20‧50대와 결혼 후 주택 구입 시기인 30대의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했다.
민생회복 1순위 과제로 꼽힌 물가 안정을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정책으로는 ‘농축산물·생필품 가격 안정’이 35.9%로 가장 많이 지목됐다. 이어 △공공요금(전기·가스·수도) 부담 경감(21.8%) △ 환율 변동성 완화·수입 물가 안정(17.2%) △세금 부담 완화‧생활비 지원 강화(17.1%) △에너지‧원자재 가격 안정(7.8%) 등 순으로 나타났다.
2순위 과제인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정부가 청년·여성·고령층 맞춤형주 고용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31.9%로 가장 높았다. 민생회복 3순위 과제인 주거 안정을 위한 우선 정책과제로는 ‘주택공급 확대‧ 부동산 시장 안정’의 응답 비율(36.3%)이 가장 높았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고물가와 경기침체 장기화로 국민들의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체감물가와 직결되는 식료품‧생필품 가격 안정을 위해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 유통구조 개선 등에 노력하고, 민간의 일자리 창출 여력 확충으로 가계의 소득창출 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