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상위권은 N수생 강세...1등급대 70%는 졸업생”

입력 2025-05-19 11: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국·수·탐 전 영역 1·2등급 받은 비율, 졸업생이 재학생 크게 앞서”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26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에서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올해 첫 전국연합학력평가가 실시된 26일 서울 금천구 금천고에서 학생들이 시험 준비를 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지난해 치러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이른바 ‘N수생’인 졸업생이 재학생보다 주요 영역에서 더 높은 성적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수학·탐구 영역에서 모두 1등급을 받은 학생의 70%는 졸업생인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진학사는 이 같은 내용의 진학닷컴 정시 합격예측 서비스를 이용한 재학생 7만7215명, 졸업생 7만9627명 등 총 15만6842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분석 결과 2025학년도 수능에서 국어와 수학, 탐구(2과목 평균) 영역을 모두 1등급 받은 수험생의 70.35%는 졸업생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학생은 29.65%로, 10명 중 3명도 되지 않았다.

3개 영역 모두 2등급을 받은 비율도 졸업생이 재학생보다 높았다. 졸업생 비율은 61.01%로 재학생(38.99%) 비율을 크게 앞질렀다. 3개 영역에서 모두 3등급 받은 학생 비율도 N수생이 53.25%로 재학생(46.75%)보다 많았다.

4등급부터는 재학생 비율이 더 높았으며, 등급이 낮아질수록 재학생 비율이 더 커졌다.

3개 영역에서 모두 4등급 받은 학생 중 재학생은 과반인 54.6%를 차지했으며, 졸업생은 45.4%였다. 8등급을 받은 학생 중 재학생은 79.66%에 달했다. 다만 가장 낮은 성적인 9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은 졸업생 53.3%, 재학생 46.67%로 파악됐다.

영어 영역의 경우 절대평가로 시행돼 1~3등급 내에서 재학생과 졸업생 간 비율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1~2등급을 받은 졸업생 비율은 각각 57.10%, 53.04%로 모두 재학생(42.90%, 46.96%)보다 높았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수능은 개념 정립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고 다양한 문제풀이를 통해 실력을 쌓아야 해 더 오랜 시간 동안 준비한 졸업생들이 강세를 보일 수밖에 없다”며 “고3 학생들은 수능에서의 기대치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졸업생의 영향력을 반드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규모 확대 후 처음 개최되는 '2025 피파 클럽월드컵', 관전 포인트는? [이슈크래커]
  • 장마 시작, 진짜 여름이 온다…올해 장마는 얼마나 빠를까? [그래픽 스토리]
  • 불균형 심한 부동산…정상화 로드맵이 필요하다 [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①]
  • 군 제대로 복귀 신호탄 쏜 BTS…이들에게 선택받은 차량은 [셀럽의카]
  • 단독 방산 M&A 균열?… 한화-오스탈, 美 승인 놓고 엇갈린 해석
  • 공정위, 대한항공 마일리지 통합안 퇴짜..."수정·보완 요청"
  • 단독 예스24, '알라딘 해킹 사태' 당시 출판협회 보안 조사 거절해
  • '소간지'에서 'K-존 윅'으로…배우 소지섭이 사는 한남더힐은 [왁자집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688,000
    • -1.52%
    • 이더리움
    • 3,752,000
    • -3.77%
    • 비트코인 캐시
    • 601,000
    • -1.23%
    • 리플
    • 3,075
    • -2.97%
    • 솔라나
    • 216,600
    • -3.9%
    • 에이다
    • 933
    • -4.5%
    • 트론
    • 377
    • -3.08%
    • 스텔라루멘
    • 375
    • -2.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850
    • -8.19%
    • 체인링크
    • 19,620
    • -6.26%
    • 샌드박스
    • 385
    • -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