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 톡!] 성공하는 스타트업의 공통분모 ‘특허’

입력 2025-05-14 19:1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이형진 변리사

기술력은 말이 아니라 특허(Patent)로 증명된다. 최근 기술 창업 생태계에서 특허의 위상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피치덱의 수사나 시장의 전망보다 기술의 특허 보호 여부가 투자자 앞에서 가장 설득력 있는 언어가 되고 있다.

특허청과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 벤처투자를 받은 스타트업 중 67%는 투자자들이 해당 스타트업의 지식재산권을 투자결정의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의 지식재산권을 투자유치 단계별로 비교한 결과, 전반적으로 프리시드(Pre-Seed) 단계에서 시리즈B 단계까지 보유 지식재산권 수가 증가하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주력 기술이 지식재산권을 통해 독점적 권리로 구현되고 있는지가 투자 판단의 핵심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기술 기반 스타트업에 있어 가장 확실한 경쟁력은 ‘모방 불가능성’이다. 그리고 모방 불가능성은 오로지 특허를 통해 객관적이고 법적으로 입증된다.

동일한 기술이 시장에 등장하더라도, 누가 이를 독점적으로 상업화할 수 있는지를 결정짓는 것은 결국 기술의 법적 권리화 여부이며, 특허는 기술 경쟁 구도에서 변곡점을 제공하는 핵심 자산으로 작용한다.

특히 인공지능, 이차전지, 바이오, 반도체 등과 같은 기술 집약 산업에서는 특허 보유 여부가 곧 기업의 생존 여부와 직결된다. 기술 개발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지는 추세에서 독점적 권리를 획득한 기술만이 장기적인 사업 기반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근 스타트업 창업자들 사이에서는 특허를 단순한 기술 보호 수단이 아닌, 필수적인 사업 전략 요소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특허는 기술 분쟁에서의 방패이자 협상 테이블에서의 강력한 칩이다. 대기업과의 협력, 라이선싱, 인수합병(M&A) 과정에서도 스타트업의 특허 포트폴리오는 기업의 거래 가치를 좌우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이제 특허는 스타트업에 선택이 아닌 생존과 성장의 전제 조건이 되었으며, 기술력의 시대를 지나 기술의 권리화가 경쟁력을 결정짓는 시대가 도래했다고 볼 수 있다. ‘특허 부자’가 되는 스타트업이 미래 시장을 선도하는 진정한 승자가 될 것이다. 이형진 변리사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단독 "지출 최대한 줄여라"…기재부, 추경 앞두고 전부처 '불용예산' 훑는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60,000
    • +0.34%
    • 이더리움
    • 3,529,000
    • +1.2%
    • 비트코인 캐시
    • 642,500
    • +8.71%
    • 리플
    • 2,998
    • +1.32%
    • 솔라나
    • 211,200
    • +5.39%
    • 에이다
    • 874
    • +1.16%
    • 트론
    • 378
    • +0.53%
    • 스텔라루멘
    • 356
    • +0.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360
    • +1.4%
    • 체인링크
    • 18,250
    • +1.16%
    • 샌드박스
    • 364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