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63.2%…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
청년 고용률 45.3%...2021년 4월 이후 최저

4월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19만4000명 늘었다. 4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다. 다만 제조업, 건설업 취업자 수가 급감했고 이상기온 영향으로 농림어업 고용도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20대 청년층 고용 상황도 좋지 않았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4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 수는 2888만7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9만4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취업자 수는 올해 1월부터 넉 달 연속 10만 명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산업별로 보면 제조업, 건설업, 농림어업 등에서 취업자 수가 많이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12만4000명 감소하며 전월(3월·-11만2000명)보다 감소 폭이 더 커졌다. 이는 2019년 2월(-15만1000명) 이후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산업 자체가 좋지 않아서 전자부품·컴퓨터 등에서 취업자가 줄었다"라며 "수출을 주도하는 반도체는 취업 유발 계수가 낮다"라고 설명했다.
AI 추천 뉴스
건설업 취업자도 전년 동월 대비 15만 명 감소하면서 고용 부진이 계속됐다. 건설업은 지난해 5월부터 12개월 연속 뒷걸음질 중이다.
농림어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13만4000명 감소했다. 2015년 11월(-17만2000명) 이후 9년 5개월 만에 감소 폭이 가장 컸다. 영남권 대형 산불보다는 지난달 대설주의보가 내리는 등 이상 기온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는 게 통계청 설명이다.
도소매업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000명 줄었다. 감소 폭은 전월(3월·-2만6000명)보다 축소됐지만, 지난해 3월부터 14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반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21만8000명),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11만3000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다.
공 국장은 "전체 취업자 증가 규모도 이전과 비슷한 흐름을 유지하고 고용률도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통적인 업종인 제조업과 건설업이 안 좋은 흐름을 유지하고 있고 청년층 고용률도 점차 빠지는 모습을 보인다"며 "제조업 산업 자체가 좋지 않은 가운데 수출을 주도하는 반도체는 취업 유발 계수가 낮아 제조업 취업자가 점차 줄어들고 있다"고 부연했다.
나이별로 보면 청년층의 일자리 감소세는 두드졌다. 반면 고령화 영향으로 60대 이상 일자리는 증가했다. 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는 34만 명 늘었고 30대에서도 9만3000명 증가했다. 그러나 20대(-17만9000명)와 고용시장 허리인 40대(-5만1000명)는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근로자는 27만9000명, 임시근로자는 5만2000명 늘었고 일용근로자는 5만4000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만6000명 줄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1000명 늘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7만7000명 감소했다.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2%포인트(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3%p 오른 69.9%였다. 전체 고용률과 15~64세 고용률 모두 4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45.3%를 기록했다. 2021년 4월(43.5%)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낮다.
실업자는 1년 전보다 3만1000명 줄어든 85만4000명이었다. 실업률은 2.9%로 1년 전보다 0.1%p 하락했다. 청년층 실업률은 0.5%p 상승한 7.3%였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에 해당하지 않는 비경제활동인구는 1597만9000명으로 1년 전보다 1만8000명(0.1%) 증가했다.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4만5000명 늘었다. 이중 청년층 쉬었음은 1만5000명 증가해 4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청년층 쉬었음은 12개월째 증가세다.
기획재정부는 관계자는 4월 고용동향에 대해 "미국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경제 심리 회복 지연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이 확대되고 건설·농림어업 고용도 지속해서 감소하는 등 주요 업종의 고용 감소세가 지속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대내외 리스크 관리 및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며 "대외 불확실성의 내수 영향 최소화를 위해 관세피해 수출기업 지원 및 고용 충격 선제대응 관련 추경예산을 신속 집행해 나갈 계획"이라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