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2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통상 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 대응 태스크포스(TF)를 열고 반도체·의약품·농수산식품 등 미국의 관세정책에 따른 국내 영향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참석자들은 최근 미·영 무역협상 타결, 미·중 무역협상 진행과 의약품 관세 부과 예고 등 관세 관련 글로벌 논의가 구체화하는 가운데 한국도 주요 분야별 국내 영향과 품목별 관세 준비가 중요하다고 공감했다.
반도체는 한국의 최대 수출 품목인 만큼 미국 측에 적극적 소통과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 의약품도 미국이 최대수출국인 만큼 수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세히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
농수산식품은 한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지만, 농어민들의 매출 감소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어 국내 영향을 분석하고 농식품 수출정보 데스크 운영 등 대미수출 애로 해소에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특히 수산식품 중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김·굴 등 주요 품목은 더욱 긴밀히 지켜볼 예정이다.
AI 추천 뉴스
아울러 이번 추경에 포함된 관세피해·수출기업 지원사업들의 집행 계획도 점검했다. 수출바우처는 이달 중 사업 공고해 다음 달부터 지급할 예정이다. 긴급경영안정자금은 이달 중 신청을 받아 기업 애로를 최소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원스톱 관세대응지원본부를 중심으로 매주 접수·처리 중인 관세 애로 현황을 확인하고 누리집을 통해 글로벌 통상 정보와 관세대응 지원사업·행사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등 기업의 어려움에 더욱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