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적이는 회사채 시장…1분기 실적이 자금 조달 가른다

입력 2025-05-11 11:2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서울 여의도 증권가.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올해 2분기 회사채 시장이 순항하는 상황에서 1분기 실적에 따른 기업별 발행 성적 차별화가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11일 금융투자협회 등에 따르면 9일 기준 3년 만기 국고채와 회사채(무보증·AA-) 간 신용 스프레드는 57.9베이시스포인트(bp·0.01%포인트)로 집계됐다.

한 달 전(57.6bp)에 비해 다소 확대됐지만, 연초(68.4bp) 대비로는 축소됐다. 1∼2월 기관 투자자가 적극적으로 채권을 매수하는 ‘연초 효과’ 이후에도 채권 시장에 자금이 흘러든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우량 등급뿐 아니라 비우량 등급 회사채도 최근 수요 예측에 성공하고 있다. 신용 등급 BBB+ 한진칼은 지난달 만기 2·3년물을 포함한 총 500억 원 규모 수요 예측에서 목표치의 약 3.5배, 4배에 달하는 자금이 몰렸다.

이런 수요에 힘입어 발행 금리는 개별 민평 금리보다 각각 52bp, 66bp 낮은 수준에서 결정됐다. A등급 한솔제지도 만기 2·3년물 총 600억 원 발행에 각각 6.57배, 8.43배 응찰을 기록하며 낙찰 금리가 -30bp, -36bp로 책정됐다.

증권가는 이달에도 회사채 시장이 양호한 흐름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다만 1분기 실적 발표 시즌인 만큼 각 기업 성적표에 따라 이들의 자금 조달 성공 여부가 갈릴 것으로 관측했다.

김기명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5월은 1분기 실적 공시가 있는 달로 회사채 발행 프로세스 진행에 제약이 있어 회사채 발행이 줄어들 것”이라면서도 “채권 시장 주변 자금은 풍부한 상태로 수요예측에서 오버부킹(초과 주문)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강세 발행 경향이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발(發) 관세 부과와 내수 침체에 따른 기업 실적 저하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재무 안정성 등 펀더멘털에 따른 업체별 차별화 현상은 심화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화학 업종 같은 장기적 업황 부진과 적자 시현 기업도 견조한 고금리 크레딧 수요로 대체로 발행 호조를 보였다”면서도 “관세 영향에 따른 업종별, 기업별 차별화가 심화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멕시코産에 30% 관세"⋯ 삼성ㆍLGㆍ현대차, 美 수출전략 '리스크' 확대
  • 고기, 계란, 생선, 수박까지 금값⋯‘장봐서 해먹느니 HMR 산다’
  • 월가 멘토들, 시장 낙관론에 일침…“트럼프 불확실성에도 자만 만연”
  • 日, 조선·철강 ‘부활’ 시동…K-산업계는 ‘긴장 고조’
  • '금강산'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한반도 정신문화 깊이 스며 있어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식 현장 포착⋯공주님 에스코트하는 팔불출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641,000
    • +0.64%
    • 이더리움
    • 4,050,000
    • +1.5%
    • 비트코인 캐시
    • 693,000
    • +0.29%
    • 리플
    • 3,840
    • +1.83%
    • 솔라나
    • 220,500
    • +1.89%
    • 에이다
    • 1,008
    • +4.56%
    • 트론
    • 410
    • +0.49%
    • 스텔라루멘
    • 604
    • +13.3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930
    • +2.02%
    • 체인링크
    • 21,130
    • +3.63%
    • 샌드박스
    • 418
    • +8.0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