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건설현장 안전 릴레이 캠페인 실시...추락사고 예방 '총력'

입력 2025-04-16 09:1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안병철 삼성물산 최고안전보건책임자가 서울시 서초구 반포3주구 재건축 현장에서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물산)
▲안병철 삼성물산 최고안전보건책임자가 서울시 서초구 반포3주구 재건축 현장에서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추락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조치를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삼성물산)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15일 서울시 서초구 반포3주구 재건축 현장에서 건설현장의 추락사고 예방과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릴레이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최근 3년간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 유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추락사고를 근절하기 위해 국토교통부가 추진하는 예방 대책의 일환이며 지난 14일부터 다음 달 23일까지 주요 건설사를 중심으로 릴레이 캠페인을 이어 나간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안병철 삼성물산 최고안전보건책임자(CSO) 부사장은 현장을 직접 점검하는 동시에 직원들에게 안전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과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삼성물산은 국내 수행 중인 30여 개의 모든 현장에 추락 사고의 위험이 큰 작업 공간을 중심으로 사고예방 표지판 300여 개소와 현수막 200여 개를 설치해 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면서도 위험을 한 눈에 인지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작업 전에는 사고사례 기반으로 제작한 숏폼(Short-form) 안전영상 교육을 진행하고 근로자들에게 추락사고 예방 전용 에어백 안전 조끼를 지급해 추락 시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조치하는 등 집중적으로 추락사고 예방에 힘을 쏟고 있다.

여기에 삼성물산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S-TBM(Tool Box Meeting ∙안전점검회의)' 모바일 앱을 통해 작업 전 사고위험 요소에 대한 올바른 예방 대책을 공유하고 위험 상황 개선 결과도 확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삼성물산은 △위험표지판 표준화 △임의작업 근절을 위한 작업계획 드로잉 △드론 활용 건설장비 점검 등 종합적인 사고 예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안병철 CSO는 "삼성물산은 경영진을 중심으로 건설현장 사고 예방을 위한 현장 점검과 안전활동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선제적인 스마트 안전기술의 도입과 안전한 건설환경을 구축하는 문화를 지속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 충격’ 현실화⋯ 삼성·LG, 멕시코발 ‘30% 관세’에 비상
  • 맥도날드서 ‘고치돈’ 맛이?⋯익숙하면서 새로운 ‘익산 고구마 모짜렐라 버거’ [맛보니]
  • 김준호♥김지민, 13일 결혼…사회 이상민·축가 거미-변진섭 '하객 1200명 예상'
  • 역대급 폭염에 물가 덩달아 고공행진...올 여름 '히트플레이션' 이어지나
  • KBO 올스타전서 나눔 4연승…'미스터 올스타' 주인공은 LG 박동원
  • 가상자산 고공행진 속 美 ‘크립토위크’…기관자금 유입 가속 전망
  • 사사건건 ‘법적 수단’ 동원 尹, 이번에는 구속적부심 카드 꺼낼까
  • 제1180회 로또당첨번호조회 ‘1등 11명 당첨’…당첨지역 ‘경기 3곳ㆍ경남 2곳ㆍ부산 1곳 등’
  • 오늘의 상승종목

  • 07.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181,000
    • +0.78%
    • 이더리움
    • 4,020,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689,000
    • -1.57%
    • 리플
    • 3,772
    • +0.27%
    • 솔라나
    • 219,900
    • +0.05%
    • 에이다
    • 983
    • +0.92%
    • 트론
    • 410
    • +0%
    • 스텔라루멘
    • 588
    • +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830
    • +1.73%
    • 체인링크
    • 20,660
    • +0.73%
    • 샌드박스
    • 396
    • +2.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