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북 너머] 정책에 춤추는 ‘부동산 촌극’ 멈춰야

입력 2025-04-1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치러질 조기 대선이 채 두 달도 남지 않았다. 6월이면 새 정부가 출범해 새 주택·부동산 정책을 내놓을 것이다. 부동산 시장은 일찌감치 관망세로 진입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부동산 정책이 급변한 과거 영향으로 시장 참여자들은 집을 사지도, 팔지도 않고 있다. 여기에 지난달 24일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이 재시행되면서 아파트 거래는 끊기다시피 하고 있다. 부동산 정책이 시장에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6월 새 정부 출범 이후 부동산 시장이 때늦은 봄을 맞이할 수 있을까. 이는 여권과 야권의 부동산을 바라보는 시각이 극명하게 엇갈리는 만큼 누가 정권을 잡느냐에 따라 ‘부동산 기상도’ 역시 180도 바뀔 전망이다.

특히 여야 간 부동산 정책의 차이가 가장 큰 지점은 다주택자에 대한 부동산 세제다. 차기 정권을 야권이 잡으면 다주택자 세율 증가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이재명 전 대표는 부동산 투자 이익을 ‘불로소득’으로 규정하는 발언을 내놓은 바 있다. 다만 최근에는 한 유튜브 채널에서 “다주택자의 주택 보유를 막을 수 없다”고 말하는 등 다소 완화된 의견을 내놔 다주택자 규제 완화 가능성을 열어둔 상황이다.

또 정비시장 규제 완화와 공시가격 현실화, 임대차법 등 ‘1가구 1주택자’에도 큰 영향을 주는 주요 정책도 여야 견해차가 크다. 윤석열 정부에선 재건축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 중단, 임대차법 폐지 등을 시행했다. 하지만 민주당이 정권 탈환에 성공하면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했던 정책은 원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앞으로 정책 따라 춤추는 ‘부동산 촌극’을 멈춰야 한다. 정권을 누가 잡느냐에 따라 집값이 급등락을 반복하고, 정책 일관성을 찾기 어려운 여야 간 부동산 정책 간극에 실수요자의 혼란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극에 달한다.

여야 주요 대선 후보 모두 다른 정책보다 우선해 부동산 시장 정책을 발표할 필요가 있다. 과거의 혼란을 반복하지 않으려면 여야 모두 정책의 핸들을 정반대로 꺾는 우를 범해선 안 된다. 새 정권에선 정치는 정치인의 몫으로, 부동산은 시장의 몫으로 남길 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35,000
    • +2.73%
    • 이더리움
    • 2,340,000
    • +2.77%
    • 비트코인 캐시
    • 489,700
    • +1.45%
    • 리플
    • 3,047
    • +3.08%
    • 솔라나
    • 200,200
    • +0.25%
    • 에이다
    • 923
    • +4.06%
    • 이오스
    • 935
    • +3.77%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73
    • +6.8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910
    • +1.97%
    • 체인링크
    • 19,370
    • +3.25%
    • 샌드박스
    • 407
    • +7.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