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10일 수출 13.7%↑...반도체·자동차 호조 영향 [종합]

입력 2025-04-11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관세청, 4월 1~10일 수출입 현황 발표

▲3일 오후 부산항 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미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국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백지화 되면서 미국과 새로운 통상 협정을 체결해야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연합뉴스)
▲3일 오후 부산항 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미국 정부가 2일(현지시간)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한국은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사실상 백지화 되면서 미국과 새로운 통상 협정을 체결해야 되는 상황에 놓이게 됐다. (연합뉴스)

4월 1일부터 10일까지 수출이 반도체·자동차 등 호조에 힘입어 증가세로 출발했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85억8400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7%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9000만 달러로 0.3% 증가했다. 이달 들어 10일까지 조업일수는 8.5일로 지난해 같은 기간(7.5일)보다 하루 많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는 32.0% 증가했다. 승용차는 11.9%, 자동차 부품은 10.5% 늘어났다. 반면 석유제품(-3.9%)과 컴퓨터 주변기기(-14.1%)는 감소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중국(8.8%), 유럽연합(30.6%), 베트남(14.3%), 일본(0.7%) 등은 증가했으나 미국은 0.6% 감소했다. 중국, 미국, EU 등 상위 3국의 수출 비중은 49.5%로 집계됐다.

1~10일 수입액은 196억750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6.5%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원유(10.2%)와 반도체(15.5%), 기계류(10.3%) 등은 늘었으나 가스(-19.1%), 석유제품(-7.3%) 등은 줄었다. 원유·가스·석탄 등 에너지 수입액은 1.2% 감소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4.7%), 미국(2.3%), 일본(15.1%), 호주(19.9%) 등에서는 수입이 늘었다. 반면 EU에서는 18.7% 줄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11억 달러 적자를 나타냈다. 전월 같은 기간 무역수지는 20억 달러 적자를 기록한 바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평당 4600만원대 진입"…끝 모를 서울 분양가 상승세
  • 제헌절과 공휴일, 재회 기대감 [해시태그]
  • 모수개혁은 한계, 통합적 구조개혁 필요 [다시 연금개혁]
  • "7~8월 누진세 구간 완화"…여름 전기요금 폭탄 면할까
  • 소버린 AI, ‘자립’에서 ‘확장’으로⋯글로벌 기술패권 노린다 [이재명표 AI 전략]
  • 또 김밥, 또 계란…반복되는 여름 식중독 사고 [해시태그]
  • 12만 달러 뚫은 비트코인, 숨 고르기…연말 15만 달러 조준 [Bit코인]
  • "주가가 왜 이래?"…'혁신의 아이콘' 애플, 어쩌다 뒤처졌나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075,000
    • -3.52%
    • 이더리움
    • 4,080,000
    • -1.21%
    • 비트코인 캐시
    • 667,000
    • -4.85%
    • 리플
    • 3,932
    • -2.46%
    • 솔라나
    • 218,300
    • -3.87%
    • 에이다
    • 998
    • -2.35%
    • 트론
    • 407
    • -0.97%
    • 스텔라루멘
    • 633
    • -1.56%
    • 비트코인에스브이
    • 35,390
    • -3.25%
    • 체인링크
    • 21,160
    • -3.07%
    • 샌드박스
    • 411
    • -5.5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