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제품에 관세요금 부과하기로…연쇄적 가격 인상 우려

입력 2025-04-09 14: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이크론, 가격 인상에 이어 요금 추가
D램·SSD 등 저장장치에 관세 적용

▲반도체 너머로 마이크론 로고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반도체 너머로 마이크론 로고가 보인다. 로이터연합뉴스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 정책에 따라 글로벌 전자 업계에 가격 인상이 시작될 조짐이다.

9일 관련 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면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은 최근 고객사에 ‘트럼프 관세에 따른 추가 요금을 부과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마이크론은 최근 고객사에 D램과 낸드플레시 납품 가격 인상 소식을 알렸는데, 이와 별개로 관세로 인한 부담을 고객들에게 전가한 것이다.

마이크론은 미국에 본사를 두고 중국과 대만,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 주로 아시아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 지역에서 생산한 제품은 미국으로 들어온다.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 정책을 발표하며 반도체는 그 대상에서 제외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D램 모듈과 SSD(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 등 저장장치는 다른 제품처럼 관세가 적용된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도 마이크론과 비슷한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중국 시안에 낸드플래시 공장을, SK하이닉스는 중국 우시와 다롄에 D램과 낸드 공장을 운영 중이다. 이들도 관세 영향권에 놓인 만큼 고객사를 대상으로 연쇄적인 가격 인상이 이어질 수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짝퉁 천국 아니었어?"…Z세대에게 통한 중국의 '새 얼굴' [솔드아웃]
  • 與 새 원내사령탑에 '3선 김병기'…"李성공 뒷받침"
  • [종합] 관세 어려움 토로한 최태원 회장…이재용 회장은 “李 자서전 읽어봤다”
  • 외국인 집주인 1년에 10%씩 늘었다 [외국인 'K 부동산' 쇼핑, 이대로 괜찮나? ①]
  • 외교부, 이스라엘 이란 공습에 “우리 국민 피해 접수 없어”
  • 디지털자산 제도화 속도戰… '혁신-소비자보호' 균형 잡아야[위기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⑤]
  • '차명 재산 의혹' 오광수 대통령실 민정수석 사의
  • 올 여름 보양식은 '이거' 어떠세요…민물의 왕 '가물치'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76,000
    • -0.6%
    • 이더리움
    • 3,522,000
    • -4.99%
    • 비트코인 캐시
    • 604,000
    • +1.85%
    • 리플
    • 2,959
    • -2.63%
    • 솔라나
    • 202,500
    • -4.93%
    • 에이다
    • 881
    • -4.45%
    • 트론
    • 375
    • +0.27%
    • 스텔라루멘
    • 359
    • -3.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580
    • -0.07%
    • 체인링크
    • 18,280
    • -6.16%
    • 샌드박스
    • 366
    • -3.6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