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뉴욕증시 무버] M7 시총, 하루새 1조 달러 증발…자동차주도 급락

입력 2025-04-04 08:5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마이크론 16%↓, 브로드컴 11%↓ 등 반도체주 추락
유나이티드헬스, 코카콜라 등 경기방어주 2~3%대 강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국제공항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마이애미(미국)/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국제공항에서 손을 흔들고 있다. 마이애미(미국)/AP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일 발표한 상호관세에 따른 충격으로 폭락한 가운데 빅테크주, 자동차주, 반도체주, 패션브랜드주 등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시가총액 1위 애플(-9.25%)이 10% 가까이 주저앉을 것을 비롯해 아마존(-8.98%), 페이스북 모기업 메타(-8.96%), 엔비디아(-7.81%), 테슬라(-5.47%), 구글 모회사 알파벳(-4.02%), 마이크로소프트(-2.36%) 등 매그니피센트7(M7)이 모두 큰 폭으로 떨어졌다. 이로써 M7 종목의 시총은 하루 새 1조 달러(1452조원) 이상 증발했다.

스텔란티스(-9.41%), GM(-4.34%), 포드(-6.01%) 등 미국 자동차기업의 주가도 죽을 쒔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날 오전 0시 1분부터 미국 이외에서 생산된 모든 자동차에 대해 25% 관세를 예외없이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엔진 등 주요 부품에 대해서는 늦어도 내달 3일 이전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영향이다.

마이크론(-16.09%) 브로드컴(-10.51%), 퀄컴(-9.51%) 등 반도체 종목도 부진을 면치 못했다. 트럼프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반도체에 대한 관세가 ‘아주 곧(very soon)’ 시작될 것”이라고 예고했다. 반면 인텔은 2.05% 상승했다.

스포츠 의류브랜드 나이키는 14.44% 급락했다. 미 상호관세 세율이 높은 베트남 등에서의 생산 비율이 높아 수익 감소가 우려된 영향이다. 의류 브랜드 갭도 주가가 20.29% 곤두박질쳤다.

반면 유나이티드헬스그룹(3.30%), 존슨앤드존슨(2.87%), 코카콜라(2.59%) 등 경기 방어적 성격의 종목은 상승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SGI서울보증보험 사흘째 먹통에 실수요자들 '발동동'…은행도 "업무마비"
  • 대규모 총파업·관세 폭탄…韓 제조업 뿌리가 흔들린다
  • '2조6천억원' 땅 지분 꼬였다…압구정 3구역 재건축 위기
  • 美, AI 칩 中 수출 재승인… 삼성 '반도체 봄' 다시 오나
  •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6년, 피해자 절반은 여전히 참는 중 [데이터클립]
  • "경영권 방어 방패 사라진다"… 자사주 많을수록 큰 타격
  • 민생회복 소비쿠폰, 온라인·배달앱 결제 제한…소비자 불만에 해법은?
  • 범여권도 등 돌린 강선우·이진숙…대통령실 '침묵' 이유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7.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3,172,000
    • +2.17%
    • 이더리움
    • 4,433,000
    • +7.78%
    • 비트코인 캐시
    • 681,500
    • +2.1%
    • 리플
    • 4,076
    • +3.27%
    • 솔라나
    • 228,900
    • +5.1%
    • 에이다
    • 1,034
    • +4.66%
    • 트론
    • 413
    • +1.23%
    • 스텔라루멘
    • 638
    • +3.7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70
    • +13.09%
    • 체인링크
    • 22,840
    • +8.45%
    • 샌드박스
    • 431
    • +4.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