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美, 한국 관세율 26%→25%로 수정"

입력 2025-04-04 07: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한국에 적용하는 상호관세율, 전날 트럼프 발표 때 적시됐던 25%로 통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6%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 중엔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했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6%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국가 중엔 가장 높은 세율을 적용했다. (연합뉴스)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26%가 아닌 25%로 최종 결정했다.

4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백악관은 3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전날의 '26%'에서 '25%'로 수정해 기재했다.

전일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상호관세율을 발표할 때 들고 있던 패널에서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였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혀 있어 혼선이 벌어졌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율 숫자와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행정명령 부속서의 숫자가 다른 이유를 백악관과 상무부,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문의하며 행정명령 부속서의 관세율을 25%로 수정하려고 협의해왔다. 1%포인트 차이지만 전체 대미 수출액을 고려하면 엄청난 금액이기 때문이다.

애초 미국 측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상호관세율의 숫자(26%)가 맞다는 입장을 고수하며 이를 수정하겠다는 의사를 사전에 한국 측에 밝히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은 전날까지만 해도 행정명령 부속서에 따라야 한다라며 26%를 고수했었다. 하지만 백악관은 3일 오후 행정명령 부속서의 한국 상호관세율을 25%로 수정한 뒤 이를 주미대사관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측은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25%로 수정해 최종 결정한 것에 대해 특별한 설명 없이 "대통령이 언급한 대로 25%가 맞다"라고만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전날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 외에도 인도, 스위스, 남아프리카공화국, 필리핀, 파키스탄, 세르비아, 보츠와나 등 10여개국도 트럼프 대통령이 들고 있던 패널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씩 높았다.

백악관은 이날 행정명령 부속서에서 패널과 숫자가 달랐던 10여개 국가의 관세율을 모두 패널과 일치하도록 수정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단독 차주 1인당 평균 가계대출 9600만 원 ‘역대 최고’ [빚더미 한국①]
  • 넷플릭스 휩쓴 K콘텐츠 오징어 게임 2억3100만 뷰 시청
  • 치이카와→태닝 키티→라부부…다음 유행할 인형의 정체는?! [솔드아웃]
  • 폭우에 인천 문학-광주 챔피언스필드 경기 우천 취소…후반기 레이스 운영 차질
  • “상용화 다가온 XR 시장”…삼성전자, 하반기 승부수 띄울까
  • 美 하원,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안 가결…트럼프 책상으로
  • 복날엔 삼계탕,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그래픽 스토리]
  • 광명 아파트 화재, 3명 사망…지상 주차장 스프링클러 없었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7.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60,797,000
    • -0.54%
    • 이더리움
    • 4,884,000
    • +5.69%
    • 비트코인 캐시
    • 704,500
    • +4.68%
    • 리플
    • 4,677
    • +5.67%
    • 솔라나
    • 243,400
    • +3.66%
    • 에이다
    • 1,131
    • +4.92%
    • 트론
    • 447
    • +3.95%
    • 스텔라루멘
    • 642
    • +1.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170
    • +4.34%
    • 체인링크
    • 24,610
    • +6.86%
    • 샌드박스
    • 452
    • +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