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건일 금통위원 “서울 주택가격 상승세 확산 유념…건전성 관리 정책공조 중요”

입력 2025-03-27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7일 한은 3월 금융안정보고서 주관 위원 메시지 전해
“금융여건 완화, 자영업자·中企 부실 늘어 일부 지방·비은행 금융기관 건전성 우려”

(한국은행)
(한국은행)
황건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주택가격 상승세가 일부 확산하는 점을 짚으며 건전성 관리에 대한 정책 공조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황 위원은 27일 “부동산시장 및 가계부채 상황이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기 위한 통화정책 운용을 제약하지 않도록 거시건전성 관리를 위한 긴밀한 정책공조가 중요하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3월 금융안정보고서’의 주관 위원 메시지를 통해 “최근 서울 일부 지역의 빠른 주택가격 상승세가 여타지역으로 확산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며 이같이 전한 것이다.

황 위원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90%에 근접하며 하향 안정화가 이어지고 있으며, 그간 꾸준히 상승해온 부동산금융 익스포저 비율도 지난해말 하락 전환한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된다”고 진단했다.

황 위원은 현재 금융시스템은 양호하다고 진단하면서 일부 지방 금융기관의 건전성 저하를 우려했다. 황 위원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은 양호한 금융기관의 복원력과 대외지급능력을 기반으로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며 “다만 높은 불확실성 하에서 낮은 성장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대내외 충격 발생 시 금융·외환시장 가격변수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금융여건 완화에 따라 차주의 원리금 상환부담은 점차 줄어들겠지만 자영업자와 중소기업 등 취약부문의 부실이 늘어나면서 일부 지방·비은행 금융기관의 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고 덧붙였다.

황 위원은 “확실성이 높은 여건 하에서 리스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선제적으로 취약부문의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한 구조개혁 노력을 지속하는 것이 긴요하다고 생각한다”며 “특히 금리 인하 기조에서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을 위한 금융여건 완화가 취약부문에 대한 구조개혁을 지연 또는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 지방 금융 3사, ‘지역 기업 리스크’에 1분기 실적 희비 교차
  • [날씨] '대구 낮 최고 29도' 초여름 날씨…일부 지역 일교차 15도 이상
  • 글로벌 보폭 넓히는 K조선…삼성重, 베트남·인니 조선소 협력 검토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10:0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59,000
    • +0.57%
    • 이더리움
    • 2,284,000
    • -0.57%
    • 비트코인 캐시
    • 478,800
    • +2.7%
    • 리플
    • 2,962
    • -1.63%
    • 솔라나
    • 194,100
    • +1.73%
    • 에이다
    • 887
    • +0.23%
    • 이오스
    • 899
    • +2.98%
    • 트론
    • 358
    • +1.13%
    • 스텔라루멘
    • 345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220
    • +0.4%
    • 체인링크
    • 17,980
    • -0.11%
    • 샌드박스
    • 356
    • +0.2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