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은행 부실채권 비율 0.53%…전분기와 동일

입력 2025-03-25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금융감독원, 12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

신규 부실채권 5.8조…기업여신 중심 증가

(자료제공=금감원)
(자료제공=금감원)

지난해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0.53%로 전 분기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신규 부실채권이 증가했지만, 부실채권 정리 규모도 함께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25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12월 말 국내은행의 부실채권 현황(잠정)'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부실채권비율은 전 분기와 동일한 0.53%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0.47%) 보다 0.06%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부실채권 규모는 14조8000억 원으로 전 분기(14조5000억 원) 보다 3000억 원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기업여신이 11조7000억 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계여신(2조8000억 원), 신용카드채권(3000억 원) 순이었다.

대손충당금 잔액은 27조8000억 원으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로 전 분기보다 6000억 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대손충당금적립률은 187.7%로 전 분기(187.4%)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는 전년 말(214.0%) 대비 26.2%p 하락한 수치다.

지난해 4분기 중 발생한 신규 부실채권은 5조8000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7000억 원 증가했다. 이 중 기업여신이 4조3000억 원, 가계여신이 1조3000억 원이었다. 같은 기간 부실채권 정리 규모는 5조6000억 원으로 전 분기보다 6000억 원 늘었다. 상·매각 3조3000억 원, 담보처분 통한 여신회수 1조2000억 원, 여신 정상화 8000억 원 등의 순이었다.

부문별 부실채권비율을 보면 기업여신 부실채권비율은 0.65%로 전 분기와 유사했다. 대기업 여신(0.41%)은 전 분기 말 대비 0.02%p 하락했다. 중소기업여신(0.78%)은 전 분기 유사한 수준이었다. 중소기업 가운데 중소법인(0.97%)은 전 분기 말 대비 0.02%p 하락했고 개인사업자여신(0.51%)은 0.03%p 올랐다.

가계여신은 전 분기 말보다 0.02%p 오른 0.29%를 기록했다. 주택담보대출(0.20%)은 전 분기 보다 0.02%p 상승했으며 기타 신용대출(0.56%)은 전 분기 말 대비 0.03%p 올랐다. 신용카드채권 부실채권비율(1.80%)은 전 분기 말 대비 0.25%p 상승했다.

금감원은 "경기 회복 지연 및 정책 불확실성 등 리스크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면서 "부실채권 상·매각 등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고, 신용손실 확대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적립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근로자의 날’ 택배·은행·학교·유치원·마트·병원·주식시장 등 휴무 여부는?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강원 인제 산불 사흘만 재발화…확산 가능성은?
  • '4연승' 한화 와이스도 예외없는 '성심당 웨이팅'…목격짤 퍼졌다
  • K-조선소 둘러보는 美해군성 장관…삼성중공업 빠진 이유는
  • [날씨] "외투 가볍게 걸치세요"…낮 최고 28도 전국 초여름 더위
  • 예금금리 올려 고객 이탈 막는 저축은행들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12:52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651,000
    • +0.06%
    • 이더리움
    • 2,598,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19,000
    • -2.08%
    • 리플
    • 3,230
    • -2.06%
    • 솔라나
    • 212,300
    • -0.19%
    • 에이다
    • 1,008
    • -0.69%
    • 이오스
    • 986
    • -0.5%
    • 트론
    • 352
    • -1.68%
    • 스텔라루멘
    • 403
    • -1.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4.3%
    • 체인링크
    • 21,150
    • -2.67%
    • 샌드박스
    • 422
    • -3.2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