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네 마녀의 날’ 상승…나스닥 0.52%↑

입력 2025-03-22 0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락 출발 후 강보합 마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9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보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9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보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뉴욕증시는 ‘네 마녀의 날’을 맞아 힘들게 장을 출발했지만, 상승으로 마감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03포인트(0.08%) 상승한 4만1985.35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4.67포인트(0.08%) 오른 5667.5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2.43포인트(0.52%) 상승한 1만7784.05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1.14% 상승했고 애플은 1.95% 올랐다. 메타는 1.75%, 테슬라는 5.27%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0.7% 하락했다.

이날은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 개별 주식 선물과 옵션 등 네 가지 파생상품 만기일이 겹치는 이른바 네 마녀의 날이었다. 골드만삭스는 4조7000억 달러 넘는 옵션이 만료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런 탓에 증시는 하락 출발했지만, 저가 매수가 떠받치면서 강보합 수준에서 마감할 수 있었다.

CNBC방송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정책에 유연성을 언급한 점도 주가 상승에 도움이 됐다고 짚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많은 사람이 관세에 예외를 허용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며 “나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연성이라는 단어는 중요한 단어”라고 밝혔다. 이어 “때로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상호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상승 덕분에 뉴욕증시는 5주 만에 주간 상승했다. 한 주간 다우지수는 1.2% 상승했고 S&P500지수는 0.5%, 나스닥지수는 0.2% 올랐다.

다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버덴스캐피털의 메건 호네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금은 경제적 관점에서 알 수 없는 것이 너무 많아 4월 2일 이후 어느 정도 명확해진다 해도 경제에 미치는 이차적 영향이 무엇일지 여전히 알 수 없다”며 “올해가 전반적으로 주식 변동성이 큰 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시] 신세계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 10% 딸 정유경 회장에 증여”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78,000
    • -1.1%
    • 이더리움
    • 2,546,000
    • -3.12%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3.78%
    • 리플
    • 3,119
    • -5.6%
    • 솔라나
    • 205,200
    • -4.34%
    • 에이다
    • 976
    • -4.78%
    • 이오스
    • 957
    • -5.53%
    • 트론
    • 355
    • +0.28%
    • 스텔라루멘
    • 391
    • -3.4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50
    • -3.28%
    • 체인링크
    • 20,300
    • -5.89%
    • 샌드박스
    • 417
    • -4.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