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보] 뉴욕증시, ‘네 마녀의 날’ 상승…나스닥 0.52%↑

입력 2025-03-22 06:4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하락 출발 후 강보합 마감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9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보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19일(현지시간) 트레이더가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기자회견을 보고 있다. 뉴욕/EPA연합뉴스
뉴욕증시는 ‘네 마녀의 날’을 맞아 힘들게 장을 출발했지만, 상승으로 마감했다.

21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2.03포인트(0.08%) 상승한 4만1985.35에 마감했다. S&P500지수는 4.67포인트(0.08%) 오른 5667.5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92.43포인트(0.52%) 상승한 1만7784.05에 거래를 마쳤다.

주요 종목으로는 마이크로소프트(MS)가 1.14% 상승했고 애플은 1.95% 올랐다. 메타는 1.75%, 테슬라는 5.27% 상승했다. 반면 엔비디아는 0.7% 하락했다.

이날은 주가지수 선물과 옵션, 개별 주식 선물과 옵션 등 네 가지 파생상품 만기일이 겹치는 이른바 네 마녀의 날이었다. 골드만삭스는 4조7000억 달러 넘는 옵션이 만료될 것으로 추산했다. 이런 탓에 증시는 하락 출발했지만, 저가 매수가 떠받치면서 강보합 수준에서 마감할 수 있었다.

CNBC방송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 관세 정책에 유연성을 언급한 점도 주가 상승에 도움이 됐다고 짚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많은 사람이 관세에 예외를 허용할 수 있는지 묻고 있다”며 “나는 변하지 않았다. 그러나 유연성이라는 단어는 중요한 단어”라고 밝혔다. 이어 “때로는 유연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기본적으로는 상호적”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상승 덕분에 뉴욕증시는 5주 만에 주간 상승했다. 한 주간 다우지수는 1.2% 상승했고 S&P500지수는 0.5%, 나스닥지수는 0.2% 올랐다.

다만 전문가들은 당분간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버덴스캐피털의 메건 호네먼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지금은 경제적 관점에서 알 수 없는 것이 너무 많아 4월 2일 이후 어느 정도 명확해진다 해도 경제에 미치는 이차적 영향이 무엇일지 여전히 알 수 없다”며 “올해가 전반적으로 주식 변동성이 큰 해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2.3→2.1→1.9→1.5%→?’ 하락하는 韓 경제…분기 단위, 9개월 만에 역성장 마주
  • 트럼프 앓고 있다는 ‘광선 각화증’ 어떤 병
  • 흥행 참패로 게임계 정치적 올바름 열풍을 식게 만든 ‘망작 5선’ [딥인더게임]
  • 오늘 민주당 첫 순회경선…'李 1강' 변화 생길까
  • 육성재·김지연 주연 로맨스 코미디 ‘귀궁’…넷플릭스, 사랑 가득 신작 공개
  • 나들이의 계절…익산 국가유산 야행부터 대전과학기술축제까지 [주말N축제]
  • [인터뷰] 제이슨 아티엔자 “한국 다채로운 공간에 영감…언젠간 내 조형물 설치하고파”
  • 실기·활동 없어도 예체능 학과 진학…논술·교과 전형 주목해야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865,000
    • +0.36%
    • 이더리움
    • 2,316,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483,100
    • -2.52%
    • 리플
    • 3,000
    • +0.13%
    • 솔라나
    • 199,600
    • +3.26%
    • 에이다
    • 897
    • -0.44%
    • 이오스
    • 905
    • +0.11%
    • 트론
    • 349
    • -0.29%
    • 스텔라루멘
    • 354
    • +1.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330
    • -0.36%
    • 체인링크
    • 18,440
    • +1.04%
    • 샌드박스
    • 382
    • +1.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