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협, 서비스산업위원회 출범…‘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마련 촉구

입력 2025-03-12 07: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앞줄 왼쪽 다섯번째)과 김상현 서비스산업위원회 위원장(일곱번째)을 비롯한 국회의원 및 위원들이 12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위원회 출범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경협이 '서비스산업위원회’를 출범시킨 것은 1961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위원회를 통해 낙후된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건의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김창범 한경협 부회장(앞줄 왼쪽 다섯번째)과 김상현 서비스산업위원회 위원장(일곱번째)을 비롯한 국회의원 및 위원들이 12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위원회 출범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경협이 '서비스산업위원회’를 출범시킨 것은 1961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위원회를 통해 낙후된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건의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사진=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제인협회가 1961년 창립 이래 처음으로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위원회’를 출범시켰다. 한경협은 위원회를 통해 낙후된 서비스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다양한 정책건의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한경협은 12일 FKI타워 컨퍼런스센터에서 여야 국회의원으로 구성된 ‘한국경제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모임’을 초청해 서비스산업위원회의 출범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서비스산업위원회 위원장은 김상현 롯데쇼핑 부회장이 맡았다. 운영위원은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 정호석 호텔롯데 대표, 이재상 하이브 대표, 최정호 대한항공 부사장, 조영석 CJ 부사장 등 15명으로 구성됐다. 자문위원으로는 세종대 이동일 교수 등 4명이다.

김상현 위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한국경제는 보호무역의 확대로 제조업 중심의 수출주도 경제성장 전략이 한계에 봉착했다”며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서비스산업을 미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발전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비스산업에 대한 정책지원을 제조업 수준으로 강화하고, 규제를 선진국 수준으로 완화해 기업투자를 촉진해야 한다”며 서비스산업 인력 양성 등 체계적인 지원체계 마련을 위한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의 조속한 마련을 촉구했다.

서비스위원회는 실질적인 제도개선 과제 발굴을 위해 별도로 △규제혁신분과 인력 △생산성 분과 △신산업 분과를 운영한다. 위원회는 정책당국자 초청 간담은 물론, 향후 분과별로 도출된 정책과제를 선별해 국회와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피카츄가 좋아? 레고가 좋아?”…올해 어린이날 테마파크 가볼까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4: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68,000
    • +0.88%
    • 이더리움
    • 2,543,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0%
    • 리플
    • 3,136
    • -0.03%
    • 솔라나
    • 217,300
    • +2.16%
    • 에이다
    • 1,022
    • +4.5%
    • 이오스
    • 974
    • +5.53%
    • 트론
    • 352
    • +0.86%
    • 스텔라루멘
    • 396
    • +5.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3,950
    • +23.37%
    • 체인링크
    • 21,590
    • +3.55%
    • 샌드박스
    • 433
    • +4.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