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에너지솔루션, 하반기 美공장서 ESS LFP 생산

입력 2025-02-18 17: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시간 공장 ESS 설비투자 및 얼티엄셀즈 3공장 인수대금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 (사진제공=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하반기부터 미국 공장에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생산 라인을 본격 가동, 고성장하는 북미 ESS 수요 대응에 나선다.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미시간 홀랜드 공장의 ESS 생산설비 투자를 위한 2조319억 원 규모의 채무보증을 진행했다고 18일 공시했다.

해당 공장 내 증설 부지를 ESS 라인으로 활용해 하반기부터 ESS용 LFP 배터리 양산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북미 ESS 시장은 인공지능(AI) 개화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더욱이 내년부터는 미국이 중국산 ESS 배터리에 대한 수입 관세를 상향 조정하면서 현지에서 생산되는 배터리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이날 LG에너지솔루션은 제너럴모터스(GM) 합작법인 ‘얼티엄셀즈’의 3공장 매입을 위한 3조6027억 원의 채무보증도 결정했다. 앞서 GM은 미시간주 랜싱의 3공장 지분을 전량 LG에너지솔루션에 매각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해당 채무보증은 3공장 인수 계약 체결 시 예상되는 인수 대금에 대한 것이다. 향후 구체적인 계약 조건과 구매 대금 등 세부 내용을 확정하는 대로 본 계약 체결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극복을 위해 생산시설 ‘리밸런싱(재조정)’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채무보증 역시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북미 생산능력(CAPA)을 재배치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겠다는 것이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추가 신규 공장 건설에 대한 부담을 덜고, 기존 준비 중인 생산 시설들의 활용을 통해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채무보증으로 인한 추가적인 재무 부담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4분기 실적 설명회에서 올해 설비투자(CAPEX)를 전년 대비 20~30% 축소한다고 밝혔는데, 이번 채무보증도 투자 계획에 포함돼 있다는 설명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작년 고위공직자 재산 평균 20억6314만 원…6201만 원↑[재산공개]
  • 경북 의성 산불, 강풍 타고 안동 확산…4000여 명 긴급 대피
  • ‘무죄’ 뒤집힌 2심…이재명 대권 가도 ‘탄탄대로’
  • 임영웅, 세금 체납으로 51억 펜트하우스 한때 압류…"우편물 확인 못 해"
  • "요즘 야구에 '흥참동'이 웬 말"…모든 야구 팬들이 웃을 수 없는 이유 [이슈크래커]
  • "신차보다 중고차 살래요" 이유는? [데이터클립]
  • 단독 금융당국 '보험사기 블랙리스트' 검토 [8조 원의 행방上]
  • "숭어가 뛰니 망둥어도 뛴다"…숭어가 뛰어야 하는 이유 [레저로그인]
  • 오늘의 상승종목

  • 03.2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8,823,000
    • -0.21%
    • 이더리움
    • 2,969,000
    • -2.27%
    • 비트코인 캐시
    • 495,900
    • +0.55%
    • 리플
    • 3,492
    • -2.89%
    • 솔라나
    • 203,000
    • -3.7%
    • 에이다
    • 1,077
    • -1.55%
    • 이오스
    • 857
    • +1.54%
    • 트론
    • 342
    • +1.79%
    • 스텔라루멘
    • 423
    • -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1,750
    • -0.29%
    • 체인링크
    • 22,450
    • -1.49%
    • 샌드박스
    • 459
    • +1.5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