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정 일자리' 효과에 취업자 반등…청년 취업난은 심화 [종합]

입력 2025-02-14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통계청 '1월 고용동향'…취업자 13만5000명 증가…재정 일자리 공급 재개 등 효과

(자료=통계청)
(자료=통계청)

재정 일자리 효과에 취업자 수가 증가로 전환됐다. 다만, 청년층(15~29세) 취업난은 심화하는 양상이다.

통계청은 14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서 지난달 취업자가 2787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보다 13만5000명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 취업자 증가 폭 확대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전월 마이너스(-5만2000명) 충격에서 벗어났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1.0%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8.8%로 0.1%포인트(p) 상승했다.

다만, 현 상황을 ‘반등’으로 판단하긴 이르다. 지난달 지표에는 재정 일자리 공급 재개와 설 연휴 이동(2월→1월) 효과가 반영됐다.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과 보건·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만 취업자가 15만2000명 늘었는데, 두 산업은 대표적인 재정 일자리 분야다. 숙박·음식점업은 증가 폭이 전월 1만2000명에서 2만7000명으로 확대됐는데, 여기에는 설 연휴 기간 성수품 구매, 국내여행 증가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청년층 취업난이 심화하고 있다. 연령대별 고용률은 30~40대, 60세 이상에서 소폭 상승했으나 청년층은 44.8%로 1.5%p, 50대는 76.5%로 0.3%p 내렸다. 청년층 고용률 하락 폭은 지난해 9월부터 5개월 연속 확대됐다.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직과 임시직이 각각 22만4000명, 7만2000명 늘었으나 일용직은 11만6000명 줄며 감소세를 지속했다. 비임금근로자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2만1000명)와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7000명), 무급가족종사자(-1만8000명)가 모두 줄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 건설업, 도·소매업 등에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직업별로는 판매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가 줄었다.

한편, 실업률은 3.7%로 전년 동월과 같았다. 다만, 확장실업률인 고용보조지표3은 전 연령대에서 10.0%로 전년 동월보다 0.1%p 하락했으나, 청년층에선 16.4%로 0.8%p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육아에서 9만6000명 감소했으나, 쉬었음이 12만8000명 증가했다. 구직단념자는 40만4000명으로 6000명 늘며 증가로 전환됐다.

1월 지표와 관련해 기획재정부는 “정부는 민생경제 회복의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민간부문 일자리 창출 및 취약계층 고용안정을 위한 노력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1분기 중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공공기관 투자 등 신속 집행을 통해 건설경기를 보강하고, 청년·중장년 등 취약계층 맞춤형 고용서비스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청년의 경우 3월부터 청년고용 올케어 플랫폼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민·관 합동 대한민국 채용박람회를 개최해 청년층 취업 분위기를 조성·확산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43,000
    • +0.63%
    • 이더리움
    • 2,570,000
    • +2.35%
    • 비트코인 캐시
    • 513,500
    • -0.87%
    • 리플
    • 3,179
    • -0.72%
    • 솔라나
    • 216,100
    • +2.08%
    • 에이다
    • 999
    • +3.63%
    • 이오스
    • 957
    • -0.31%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82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970
    • -0.41%
    • 체인링크
    • 21,410
    • +6.36%
    • 샌드박스
    • 424
    • +1.4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