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관세전쟁 우려에 코스피·코스닥 약보합 출발

입력 2025-02-10 09: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스피와 코스닥지수가 10일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4분 기준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15.89포인트(0.63%) 내린 2506.03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피지수는 11.28p 내린 2510.64로 출발했다.

개인이 387억 원, 기관이 74억 원 순매수하는 가운데 외국인이 406억 원 순매도하고 있다.

지난주 7일 뉴욕 증시는 미국발 관세전쟁 확전에 따른 불안감에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99% 하락했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종합지수는 각각 0.95%, 1.36% 밀렸다.

주말간 외신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11일이나 12일에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한 관세와 동등하거나 유사한 수준으로 관세를 매기는 상호관세 조치를 발표할 계획이며, 거의 즉시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피 업종별로 보면 오락/문화(2.02%), IT서비스(1.53%), 통신(0.58%), 건설0.52%) 오르고 금속(2.14%), 전기/전자(-1.52%), 의료/정밀기기(-1.34%), 화학(-1.26%) 등은 내리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 중에서는 NAVER(1.33%) 오르고 깅(-2.18%), SK하이닉스(-2.12%), 삼성전자우(-1.92%), 셀트리온(-1.17%) 삼성전자(-1.12%) 등 다수가 내리고 있다.

같은 시각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2.89포인트(0.39%) 내린 740.01에 거래 중이다.

개인이 591억 원, 기관이 91억 원 사는 가운데 외국인이 645억 원 팔고 있다.

업종별로는 오락/문화(3.68%), IT서비스(0.82%), 출판/매체복제(0.78%), 의료/정밀기기(-.53%) 등이 오르고 있고 비금속(-2.03%), 유통(-1.90%), 화학(-1.54%), 금융(-1.51%), 전기/전자(-1.40%) 등은 내리고 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에서는 에코프로비엠(-3.14%), 에코프로(-2.67%), 레인보우로보틱스(-2.57%), 삼천당제약(-2.29%), 알테오젠(-1.28%) 등 다수가 내리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공시] 신세계 “이명희 총괄회장, 지분 10% 딸 정유경 회장에 증여”
  • "남돌의 은혜가 끝이 없네"…'5월 컴백 대전'의 진짜 이유 [엔터로그]
  • 근로자이지만 근로자가 아니라는 ‘근로자의 날’ 이야기 [해시태그]
  • 1막 내리는 LCK, 서부권 '젠한딮농티' 확정?…T1 지고 농심 떠올랐다 [이슈크래커]
  • 단독 SKT 해킹에 금융당국, 개인정보 배상책임보험 보장 한도 상향 검토
  • 비트코인, 일시 조정국면에도…전문가 "현 상황은 우호적" [Bit코인]
  • 검찰, ‘尹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 삼성전자, 1분기 최대 매출 79조…갤럭시S25 잘 팔려 선방
  • 오늘의 상승종목

  • 04.3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450,000
    • -0.27%
    • 이더리움
    • 2,588,000
    • -0.73%
    • 비트코인 캐시
    • 528,500
    • -0.47%
    • 리플
    • 3,170
    • -3.5%
    • 솔라나
    • 211,700
    • -1.12%
    • 에이다
    • 987
    • -2.76%
    • 이오스
    • 987
    • -0.9%
    • 트론
    • 356
    • +0.56%
    • 스텔라루멘
    • 392
    • -2.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200
    • -2.56%
    • 체인링크
    • 20,640
    • -3.05%
    • 샌드박스
    • 429
    • -0.9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