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디 인도 총리, 트럼프와 13일 정상회담…무역ㆍ비자 등 논의 전망

입력 2025-02-04 15: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백악관 초대로 워싱턴D.C.서 회동
미국 기업 리더들도 만날 예정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오른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0년 2월 25일 뉴델리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뉴델리/AFP연합뉴스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오른쪽)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0년 2월 25일 뉴델리에서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뉴델리/AF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백악관의 초대로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라고 인도 현지 매체인 힌두스탄타임스가 4일 보도했다.

모디 총리는 파리에서 10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인공지능(AI) 정상회의에 참가한 뒤 12일 저녁에 워싱턴D.C.에 도착해 13일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계획이다. 14일까지 이뤄지는 2박 3일 방미 일정 중에는 미국 기업 리더들과도 만날 예정이다.

두 정상은 무역 문제, 미국 내 인도인 불법체류자 이슈, 인도인 미국 비자 절차 등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인도의 가장 큰 무역 상대국이다. 두 나라 간 무역 규모는 2023∼2024 회계연도 기준 1180억 달러(약 173조 원)를 넘었고, 그해 인도는 320억 달러 흑자를 올렸다.

로이터통신은 “인도는 중국에 대응하기 위한 미국의 전략적 파트너로서, 미국과의 무역 관계를 강화하고 국민이 숙련 노동자 비자를 더 쉽게 받기를 원한다”고 분석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인도가 미국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언급했던 위협도 피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는 지난달 20일 취임 직후 기자들에게 모디 총리가 2월에 백악관을 방문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또 트럼프는 27일에는 모디 총리와 통화하면서 인도가 미국산 보안 장비 조달을 늘려야 하며, 공정한 양자 무역 관계를 향해 나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인도 외무부는 같은 달 31일에 인도와 미국이 포괄적 글로벌 전략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모디 총리가 미국을 조기에 방문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또 방문 일정이 정해졌으며, 적절한 시기에 공개했다고 알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서울 면적 70% 태운 역대 최악 산불…149시간 만에 진화[종합]
  • 단독 산불로 통신 두절…방송통신 재난 관리 예산은 21.5% 삭감
  • "그 팔찌 어디 거야?"…아이돌의 기부 릴레이, 더 뭉클한 이유 [솔드아웃]
  • 비트코인, 美 경제지표 발표에 관망세…8만 달러 중반서 핑퐁 [Bit코인]
  • 의대생 속속 복귀...이날 등록 마감 의대서도 이어질까
  • '테니스 신'에 도전하는 사나이…노바크 조코비치의 원픽은 [셀럽의카]
  • "사람 성을 딴 생선?"...'명천'에 살던 '태'씨가 잡은 물고기 [레저로그인]
  • 전국 별별 여행 체험 아이템 다 모였다…“우리 지역에 놀러오세요” [르포]
  • 오늘의 상승종목

  • 03.2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6,804,000
    • -1.1%
    • 이더리움
    • 2,821,000
    • -5.34%
    • 비트코인 캐시
    • 463,100
    • -5.01%
    • 리플
    • 3,296
    • -4.77%
    • 솔라나
    • 195,400
    • -4.03%
    • 에이다
    • 1,043
    • -3.78%
    • 이오스
    • 890
    • +5.08%
    • 트론
    • 344
    • -0.86%
    • 스텔라루멘
    • 410
    • -3.0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9,340
    • -5.21%
    • 체인링크
    • 21,350
    • -7.34%
    • 샌드박스
    • 424
    • -6.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