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상승세도 멈췄다…주택사업자 경기전망 '꽁꽁'

입력 2025-01-16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자료제공=주택산업연구원)

주택사업자들의 사업 경기 전망이 크게 악화했다. 대출 규제 강화와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심하게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16일 주택산업연구원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가 전월보다 14.1포인트(p) 하락한 61.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수도권은 65.9로 12.5p 낮아졌다. 서울(93→76.7)이 16.3p로 가장 큰 낙폭을 나타냈다. 경기(77.5→65.0)와 인천(64.7→56.2)도 하락했다.

주산연은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에 따른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지면서 사업자들의 전망이 부정적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한국부동산원 주간동향 기준으로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9개월여 만에 상승세를 멈추고 수도권 아파트 가격은 하락 전환했다"며 "국토교통부 기준 매매거래량이 4개월 연속 감소하면서 매수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은 14.6p 하락한 60.6을 기록했다. 광역시는 25.5p 내린 57.1, 도 지역은 6.4p 떨어진 63.2로 집계됐다.

대구(88.4→48.1)가 40.3p로 가장 크게 하락했다. 이어 경남(81.2→55.5), 대전 (80.9→55.5), 세종(93.3→68.7), 부산(70.8→48.0), 울산(82.3→61.1), 광주 (80.0→61.1), 경북(78.5→60.0), 전북(71.4→57.1), 전남(64.2→53.3), 제주(68.4→61.1), 충남(75.0→71.4) 순이다. 충북(63.6→72.7)과 강원(54.5→75.0)은 상승했다.

자금조달지수는 2.9p 낮아진 68.1로 전망됐다. 4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6월 이후 처음으로 60대선으로 떨어진 것이다. 금융규제 강화로 분양시장이 침체하고 이로 인해 비용 회수, 신규 대출이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자재수급지수는 87.8로 6p 하락했다. 내수경기 악화와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이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팀 위시가 왜 이리 잘해"…엔터사 1위 경쟁, '굿즈'가 좌우한다? [솔드아웃]
  • “편의점 쓸어왔어요” 크보빵 인기, 포켓몬빵 수준? [해시태그]
  • "가을엔 가을전어? 봄에는 이것"…바다의 봄을 알리는 생선 [레저로그인]
  • [종합] ‘어도어’ 손 들어준 법원…“뉴진스 독자활동 금지해야”
  • MLB서 절치부심한 이정후, 김하성…'키움 출신' 메이저리거들의 선택은 [셀럽의카]
  • 관세 충격 아직 안 끝났나…비트코인, 8만4000달러로 하회 [Bit코인]
  • HLB, 간암 신약 FDA 승인 불발…“2차 보완요구서한 수령”
  • '무승부' 오만전, 업혀 나간 이강인…부상 정도는?
  • 오늘의 상승종목

  • 03.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4,153,000
    • -1.11%
    • 이더리움
    • 2,898,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492,400
    • -2.69%
    • 리플
    • 3,516
    • -3.72%
    • 솔라나
    • 186,600
    • -3.22%
    • 에이다
    • 1,038
    • -2.72%
    • 이오스
    • 790
    • -7.39%
    • 트론
    • 348
    • +2.96%
    • 스텔라루멘
    • 409
    • -2.39%
    • 비트코인에스브이
    • 50,100
    • -1.18%
    • 체인링크
    • 20,660
    • -3.19%
    • 샌드박스
    • 413
    • -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