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해양사고, 줄ㆍ그물 관련이 대부분…안전장구 착용 필요

입력 2025-01-04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심원 재결서 분석 결과

▲최근 10년(2014~2023년)간 줄·그물 관련 안전사고 유형별 현황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최근 10년(2014~2023년)간 줄·그물 관련 안전사고 유형별 현황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최근 10년간 해양사고 대부분이 줄ㆍ그물 관련 사고로 어업 시 안전장구 착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해양수산부 중앙해양안전심판원(해심원)의 재결서를 기반으로 자체적으로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최근 10년(2014~2023년)간 해양 안전사고는 전체 재결분의 약 20%(378건)였다. 이 중 줄과 그물 관련 사고가 77.5%(293건)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줄·그물 관련 사고로 인해 발생한 인명피해는 신체 가격에 의한 사고가 전체 인명피해의 29.7%(58명)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망기 사고(23.6%), 어구·줄에 감겨 해상으로 추락하는 사고(23.6%)가 뒤를 이었다. 특히 최근 10년간 예인줄, 닻줄과 같은 줄 시설물에 의해 머리, 발 등의 신체가 손상된 경우는 총 445회였다.

줄‧그물에 의한 사고의 주요 원인은 △안전모와 구명조끼 등 개인보호장구 미착용 △부주의로 인한 작업 위치 선정 오류 △양망기 작동 중 비정지 작업 등 대부분 인적요인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단은 선박에서 발생하는 줄·그물 작업 중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조업 전 안전 교육을 하고 조업 시에는 안전장구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줄과 그물에 장력이 걸리면 엔진을 조작해 장력 제거, 노후된 로프와 로프를 거치하는 시설물은 즉시 교체, 양망기 작동 시 회전 구동부에 접근 금지, 양망기 정지 후 줄이나 그물 끼움 작업 시행, 예인작업 시 급격한 전진(예인줄 장력 급증) 금지 등과 같은 안전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김준석 공단 이사장은 “해상 작업 중 줄과 그물에 의한 안전사고 예방에 특히 주의해달라”며 “올해에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현장 중심의 교육 확대와 실효성 있는 예방 활동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美 원전 르네상스에 ‘관세·밸류업 수혜’ 제친 원자력 ETF
  • 李대통령, 안보실 1차장에 김현종...네이버 출신 하정우 AI수석 임명
  • 상장주 5개 중 1개가 신고가…"정책株 내 순환매 가능성"
  • "돈 풀려면 세원 방안도"…대규모 추경 앞 재정건전성 우려
  • 금감원·카카오, 불법 채권 추심 카톡 계정 이용 정지한다
  • 서울시 "외국인 부동산 거래 자금조달 내역 면밀히 검증"
  • [르포]"일회용품 없는 야구장 만들자"…빗속 한화구장서 울린 '그린스포츠'
  • 단독 한국교육개발원, 동료 집단 신고에 ‘직장 내 갑질’ 직원 해임
  • 오늘의 상승종목

  • 06.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762,000
    • +0.29%
    • 이더리움
    • 3,526,000
    • -0.51%
    • 비트코인 캐시
    • 620,000
    • +2.56%
    • 리플
    • 2,991
    • -0.23%
    • 솔라나
    • 204,000
    • +0.1%
    • 에이다
    • 877
    • -0.9%
    • 트론
    • 377
    • +0%
    • 스텔라루멘
    • 359
    • -0.8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580
    • +1.18%
    • 체인링크
    • 18,360
    • -0.22%
    • 샌드박스
    • 370
    • +0.2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