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년 만에 윤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국무회의 심의 거쳤나 '논란' [비상계엄]

입력 2024-12-03 23:18 수정 2024-12-04 00: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긴급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긴급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우리나라에서 비상계엄이 선포된 것은 1981년 1월 해제된 이후 43년 만이다. 다만 계엄법에 따르면 계엄을 선포하려면 국무회의를 거쳐야 하는데 현재 국무회의 개최 사실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계업법에 따르면 계엄은 비상계엄과 경비계엄으로 구분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은 대통령이 전시ㆍ사변 또는 이에 준하는 국가비상사태 시 적과 교전(交戰) 상태에 있거나 사회질서가 극도로 교란(攪亂)돼 행정 및 사법(司法) 기능의 수행이 현저히 곤란한 경우에 군사상 필요에 따르거나 공공의 안녕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선포한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하거나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할 때에는 그 이유, 종류, 시행일시, 시행지역 및 계엄사령관을 공고해야 한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했을 때에는 지체 없이 국회에 통고(通告)해야 한다.

국회가 폐회 중일 때에는 대통령은 지체 없이 국회에 집회(集會)를 요구해야 한다. 대통령은 계엄 상황이 평상상태로 회복되거나 국회가 계엄의 해제를 요구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계엄을 해제하고 이를 공고해야 한다.

대통령이 계엄을 해제하려는 경우에는 국무회의의 심의를 거쳐야 한다. 계엄이 해제된 날부터 모든 행정사무와 사법사무는 평상상태로 복귀한다.

역대 비상계엄 사례는 10번이다. 가장 마지막 비상계엄은 1980년 5.18민주화운동으로 1981년 1월 해제됐다. 이후 43년 간 비상계엄은 없었다. 그 이유는 1981년 국회법이 개정되면서 계엄령 선포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대통령 의사만으로 계엄을 즉각 선포할 수 없도록 국무회의 심의 절차가 규정됐고 대통령은 계엄 선포를 지체없이 국회에 통보해야 하는데, 이때 국회가 재적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계엄의 해제를 요구하면 대통령은 이를 받아들여야 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한국이 중국설을 훔쳐간다” 음력설에 또 발끈한 중국 [해시태그]
  • '페이커' 이상혁도 반했다…스타 황제 임요환도 픽했던 차는? [셀럽의카]
  • 스타벅스, 커피값 200원 인상…커피체인점 줄줄이 가격 인상할까 [이슈크래커]
  • 단독 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 "1500% 성과급 만족스럽지 못하단 것 알아"
  • "송어 낚으러 갔다가 내가 낚였네"…'청평 송어 축제' 기대와 실망 사이 [레저로그인]
  • 변동성 커진 비트코인, 美서 가상자산 친화 움직임에 상승 [Bit코인]
  • 갤럭시 S25, 온라인이 더 싸다? 이마트 ‘파격 할인’
  • K-방산, UAE서 중동 붐 일으킨다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6,951,000
    • +2.95%
    • 이더리움
    • 5,061,000
    • +5.26%
    • 비트코인 캐시
    • 656,000
    • +2.5%
    • 리플
    • 4,746
    • +3.51%
    • 솔라나
    • 394,600
    • +8.08%
    • 에이다
    • 1,492
    • +3.68%
    • 이오스
    • 1,220
    • +5.26%
    • 트론
    • 386
    • +4.89%
    • 스텔라루멘
    • 660
    • +6.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77,800
    • +2.57%
    • 체인링크
    • 38,920
    • +6.84%
    • 샌드박스
    • 853
    • +4.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