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제약, ‘피부외용제’ 시장 선도…올해 3분기 전년 比 23.2% 성장

입력 2024-11-27 05: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여드름·색소침착 라인업으로 피부 토탈 솔루션 제공…소비자 선택폭 확대

▲동아제약의 피부외용제 라인업 (사진제공=동아제약)
▲동아제약의 피부외용제 라인업 (사진제공=동아제약)

동아제약의 피부외용제 ‘노스카나’, ‘애크논’이 큰 폭으로 성장하며 동아제약 일반의약품(OTC) 매출을 리딩하고 있다고 27일 밝혔다.

이달 1일 발표한 올해 3분기 실적에 따르면 동아제약은 전년 대비 4% 성장한 1795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일반의약품 매출이 21.6% 증가하며 동아제약 매출 전반을 끌어올리는 데 이바지했다.

일반의약품 품목 중 피부외용제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피부외용제 3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3.2% 증가한 127억 원을 기록하며 피부외용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동아제약 대표 피부외용제는 노스카나겔이다. 노스카나겔은 여드름 흉터 치료제로 2013년 출시 이후 5년 만에 100억 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올해는 200억 원 매출을 눈앞에 두고 있다. 헤파린나트륨·알란토인·덱스판테놀 등 삼중 복합 성분이 함유돼 흉터를 재생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난해 동아제약은 노스카나겔의 패키지를 리뉴얼하고 착색개선 효능이 있는 비타민B3, 비타민E 성분을 추가해 제품의 구성력을 강화했다. 올해 6월에는 신규 브랜드 모델로 노정의를 발탁해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다.

애크논크림은 2020년 7월 동아제약이 출시한 뾰루지·여드름 치료제다. 항염 효과와 여드름균의 지방분해효소 생성을 억제하는 이부프로펜피코놀과 항균 작용과 함께 여드름균 증식을 막는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이 주성분이다.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이 기존 뾰루지·여드름 치료제보다 3배가량 많이 함유돼 붉은 여드름과 화농성 여드름 치료에 도움을 준다.

동아제약은 노스카나겔과 애크논크림을 중심으로 피부외용제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다. 늘어나는 여드름 치료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좁쌀여드름(비염증성 여드름) 치료제인 애크린겔을 출시했다. 애크린겔은 살리실산 2% 성분과 티트리오일 등을 함유한 겔 타입 제형으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보관이 편리하다.

여드름 라인뿐만 아니라 색소침착 라인도 확대해 피부 고민 토탈 솔루션도 마련했다. 색소침착치료제인 멜라토닝크림은 60~70대 여성 중심이던 색소침착치료제 시장을 30~40대로 확대하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멜라토닝크림은 멜라닌 색소 생성을 억제해 과다 침착된 색소를 탈색해주는 색소침착치료제다. 주성분인 히드로퀴논은 멜라닌 생성을 촉진하는 효소인 타이로시나아제를 억제해 멜라닌이 과도하게 생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동아제약 관계자는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신제품과 최고의 품질관리 서비스를 제공해 피부외용제 시장에서 입지를 굳히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글로벌 청년실업] 세계 청년들의 좌절…일자리가 없다
  • “GPU 5만 장 확보” 현실성 있나…이재명式 AI 인프라 공약 뜯어보니 [위기의 대한민국, 이것만은 꼭]
  • '관세폭탄'에 美 재고 바닥⋯현대차ㆍ기아 차값 인상 불가피
  • 트럼프 “미국, 이스라엘-이란 분쟁 개입할 수도 있어”
  • 폭염에 폭우까지 오락가락…올여름 '장마 피해' 더 커질 수 있다고? [이슈크래커]
  • “메모리ㆍ기판 소비전력 낮춰라”⋯반도체 기업도 기술 개발 박차 [데이터센터 '양날의 검' 上]
  • 美서 힘 빠진 태양광, 소재ㆍ재활용 신사업 확장
  • ‘예스24’ 사태가 불러온 ‘디지털 소유권 환상론’…타 업계로도 번져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6.16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7,950,000
    • +1.51%
    • 이더리움
    • 3,537,000
    • +0.45%
    • 비트코인 캐시
    • 643,500
    • +0.86%
    • 리플
    • 3,121
    • +4.21%
    • 솔라나
    • 211,200
    • +0.28%
    • 에이다
    • 881
    • +0.46%
    • 트론
    • 380
    • +0.53%
    • 스텔라루멘
    • 363
    • +1.6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120
    • -1.28%
    • 체인링크
    • 18,960
    • +3.04%
    • 샌드박스
    • 372
    • +2.2%
* 24시간 변동률 기준